황병성 칼럽 - ‘벼룩이 간을 빼 먹는’ 행태는 사라져야 한다

황병성 칼럽 - ‘벼룩이 간을 빼 먹는’ 행태는 사라져야 한다

  • 철강
  • 승인 2021.08.16 06:05
  • 댓글 0
기자명 황병성 bshwa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친한 후배가 술 한잔하자는 연락이 왔다. 아주 오랜만의 만남이었기에 반가운 마음으로 약속 장소에 나갔다. 늘 만나면 이런저런 헤픈 농담을 주고받으며 해후(邂逅)의 회포를 푸는 것이 절차였다. 하지만 평소와 달리 후배는 그믐밤처럼 어두운 얼굴로 말없이 묵례만 했다. 무슨 근심이 있기에 저런 얼굴을 하고 있을까 궁금했지만, 선뜻 물어보지 못하고 눈치를 살폈다. 소주 한 잔이 들어가자 그제야 강물처럼 깊은 한숨과 함께 그가 어렵게 말문을 열었다.  

“선배님, 회사를 그만두었습니다.”

그 말을 듣는 순간 나는 귀를 의심하며 되물었다. 하지만 그의 입에서 흘러나온 말은 조금 전과 다르지 않았다. 찰나의 순간 나의 뇌리에서는 복잡한 생각이 요동쳤다. 40대에 실직이라니, 하필이면 이 코로나 시국에 그의 결정은 너무 잘못됐다고 생각했다. 연로한 부모님을 모시는 두 아이를 둔 가장이 내릴 결정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가 모진 결정을 하게된 이유가 궁금했다. 내가 묻기도 전에 그가 먼저 입을 열었다.  

그는 입에 거품을 물고 사표를 낸 이유를 설명했다. 분노에 찬 격정 어린 목소리는 자신이 사표를 낸 것을 합리화하려는 듯 크고 거칠었다. 그의 말을 들으며 나는 그 말에 공감하며 연신 고개를 끄덕였다. 말로만 듣던 ‘직장 내 괴롭힘’의 사례를 들으며 나도 어느새 같이 흥분하고 있었다. 이른바 갑질의 행태가 아직 우리 직장 내 존재한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국가가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을 만들면서 근절시키려 했지만, 법의 사각지대에서는 비웃듯 위법이 버젓이 행해지고 있었다.

후배의 괴롭힘은 최고 결정권자인 회사 대표와 연관되어 있었다. 대표의 사적인 일을 들어주지 않았다 하여 각종 불합리한 일로 겪었던 신체적·정신적 고통은 결국 그를 벼랑끝으로 내몰고 말았다. 실직의 고통은 더 클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을 잘 알면서도 결정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직장 내 괴롭힘이 도를 넘어서이다. 후배는 대표가 차라리 “사표를 내라”고 했으면 오랜 시간 괴롭힘을 당하지 않고 그렇게 했을 것이라고 했다. 대표가 그 말을 금기어처럼 하지 않은 것은 이유가 있었다. 실업급여 때문이었다.

사표를 내고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먼저 따지는 것이 비자발적이냐 아니면 자발적이냐이다. 자발적인 실직자는 법 규정상 급여를 받을 수 없다. 그래서 사업주는 근로자가 스스로 그만두게 하려고 온갖 갑질로 퇴사를 종용한 것이다. 근로자가 억울함을 호소하려고 해도 많은 제약이 따른다. 특히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이직확인서가 필수이다. 하지만 이 이직확인서는 근로자가 쓰는 것이 아니라 회사가 입증하는 서류이다. 그 과정에서 권한이 악용되는 것이 문제다. 근로자만 당하게 돼 있다고 후배는 억울함을 호소했다.  

나는 그에게 “그러면 직장 내 괴롭힘을 증명하면 되지 않나?”라고 물었다. 그러자 그가 코웃음을 쳤다. 그것을 증명해야 하는 데 말처럼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가 말한 또 다른 충격적인 사실은 실업급여를 미끼로 다른 법적인 권리 포기를 회유하거나 심지어 실업급여를 받는 동안 무급 출근을 내 거는 악덕 업주도 있다고 했다. 이 같은 불법을 적발해 예방하기에는 국가의 힘이 너무 미약한 것 같아 안타까웠다. 피해자가 많으니 대책이 시급한 이유다.

얼큰하게 취한 후배는 “회사에만 권한이 있으니 실업급여 제도를 마치 베푸는 은혜처럼 생각하고 직장 내 괴롭힘 수단으로 악용한다”면서 “실직해서 재취업 때까지 알토란같은 도움을 주는 것이 실업급여이다. ‘벼룩이 간을 빼 먹는’ 사업주의 이러한 행태는 철퇴로 심판해야 마땅하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술집 사장은 코로나19의 창궐로 일찍 가게 문을 닫아야 함을 알리며 눈치를 주었다. 그의 얼굴에도 후배의 얼굴처럼 수심(愁心)이 가득했다. 문득 ‘이 또한 지나가리라’라는 성경 구절이 생각났다. 만취한 후배의 손을 힘주어 잡아 위로했다. 손으로 전해지는 삶의 무게가 천근만근이어서 마음이 너무  아프다 못해 쓰렸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