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철강업계가 열간압연강판 유통가격 회복을 도모하고 국내 철강 시황 안정화를 노리고 있다. 본격적인 계절적 비수기 시장에 진입했지만, 적극적인 가격 방어 정책을 펼치며 가격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1월의 경우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제품 물동량이 감소하는 등 수급 불균형이 발생하지만, 최근 빡빡한 수급 상황과 수입재 감소 등으로 제품 가격이 오를 것으로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국산 열간압연강판 유통가격은 톤당 80만 원 초반선을 형성하고 있으며 수입대응재 유통가격은 톤당 70만 원 후반선에서 80만 원선, 수입산 열연강판 유통가격은 톤당 70만 원 후반선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1월 국내 열연강판 가격은 전월과 비교해 소폭 오른 상황이다. 계절적 비수기 영향과 함께 내수 수요 부진 등으로 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나, 제조업계의 강력한 가격 인상 방침과 수입재 감소, 빡빡한 내수 수급 상황 등으로 가격은 오른 모습이다.
철강업계는 올해 국내 철강 수요가 전반적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크지만, 저가 수입재 유입량 감소에 따른 시황 반등은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해외 철강 가격이 다소 하락했지만, 국내 시황 변화와 환율 등을 고려하면 수입 계약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중국 철강 가격의 추가 하락이 발생한다면 제품 수입은 언제든 증가할 수 있다. 최근 중국 열연강판 가격은 톤당 3,300위안대를 중심으로 횡보하고 있으며 한국향 열연강판 오퍼가격도 톤당 400달러(CFR)대 중후반선을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중국 가격 또한 춘절까지 약보합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라며 “향후 가격 추이에 따라 수입량도 달라질 수 있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