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들어 가격 상승, 재고량은 감소 금리인하 등 향후 수요 증가 요인 존재
“팬데믹 이후 신흥국 중심 생산용량 확대, 신흥국 과잉 생산·무역 갈등 해소 필요”
최대수요산업 전기차 판매 부진 결정적 미비한 인프라 외에 국제 리스크도 존재
주요 선진국들은 대부분 소비 감소, 中·인도 등 아 신흥국 중심으로 소비 증가 中 저가 철강 밀어내기 수출에 상반기 철스크랩 무역 전년比 6% 감소
중국 전자제품 및 태양광 산업 순황 등 반등 요인도 존재
1~7월 생산 전년比 1.8% 감소, 탈탄소화에 직접환원 공정 통한 선철 생산은 증가
미국·서유럽 가격 1.8%, 0.8% ‘상승’, 중국·세계수출 가격 5.2%, 5.8% ‘하락’
부족한 공급 및 미국 금리 인하 기대 영향 LME 알루미늄價 전주 대비 5.5% 상승
계절적 비수기에 전월 대비로는 2.6% 감소, 8월 이후에도 전년 대비 생산 증가 지속 전망
톤당 120달러에서 톤당 110달러로 하향, 中 수요 약세 및 생산능력 확대 반영
자국 STS 생산량 감소에 아시아 주요 STS 생산국 對러 제재에 수급 비상 중국산 수입에 대한 의존도 높아져...中 밀어내기 수출에 러시아 STS밀 생산 비상?
2차 연례재심 ‘조사개시’ 발표...내년 발표될 최종관세에 앞서 예비 관세 적용 브라질, 중국산 철강재에 쿼터제 적용 계획..수교 50주년 무색
中·EU가 EAF 설비 확대 주도, 인도·남아시아, 고로 비중 55% 이상 증가 전망 철스크랩·안정적 전력 공급·초기 투자 비용에 지역별 EAF 전환 속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
상반기 생산 9억5,460만 톤 … 中 1.1% 감소, 韓 6.4% 줄어 튀르키예 16.9% 급증 … 인도, 독일, 이란, 브라질 생산도 늘어
주요국 철강업계 협력 통해 탄소 배출·가격 책정 관련 공통 표준 및 규정 확립해야
中·선진국, 건설 부진에 봉형강 시황 악화, 신흥국들은 인프라 투자 확대에 수요 증가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