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보다 소공인이 ‘우선’돼야

예술가보다 소공인이 ‘우선’돼야

  • 뿌리산업
  • 승인 2017.02.20 06:30
  • 댓글 0
기자명 송규철 기자 gcso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래역 7번 출구로 나와 얼마를 걸었을까? 금속이 녹는 매캐한 냄새가 코를 찌르고 봉강을 자르는 소리가 귀를 때린다.

조금 지나면 덜할까 싶어 골목골목으로 들어가 본다. 혈관처럼 복잡하게 얽힌 골목들에는 ‘D주물’, ‘K금속’, ‘B용접’ 등의 간판이 즐비하다. 이곳은 문래 철공공단이다.

1930년대 일제강점기, 방직공장들이 들어섰던 동네는 해방 이후 실을 자아내는 틀인 ‘물레’에서 이름을 따온 문래동으로 자리잡았다. 1960년대 후반부터 철공소들이 이 동네에 모여들었고 1980년대에 ‘도면만 있으면 만들지 못하는 것이 없다’는 철공공단이 됐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국산의 침공에 흔들렸지만 문래동은 여전히 뿌리기술의 집적지이자 장인들의 일터로 평가받고 있다.

그런데 얼마 전부터 문래동의 존속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N정밀 대표는 기자에게 “서울시의 지원을 받는 젋은 예술가들이 들어오면서 임대료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면서 “어려운 시황에 임대료를 내지 못한 업체들이 쫓겨나고 있다”고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했다.

사실 젊은 예술가들이 문래동에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0년 서울문화재단이 젊은 예술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문래 예술공장을 건립하면서부터이다. 현재 100여 개의 작업실에서 300여 명의 예술가들이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양자택일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지원과 배려의 ‘차례’ 문제가 아닌가 싶다.

지난 5일 서울시는 문래동을 기계금속 관련 ‘도시형 소공인 집적지구’로 지정하고 역내 1,350개 업체들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으로는 성수동(수제화)과 종로(보석류), 문래동에 국비 50억원 등 총 83억원을 투입해 공동 제품 전시·판매장, 3D프린터 등 구비 시제품 제작소, 마케팅 지원 공간 등의 소상공인 공동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앞서 말했듯 양자택일의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예술가들보다는 소공인들이 우선되어야 지역 기반이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는 점은 자명하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