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아크로 등 中 탄소중립 대전환 수요품목 공략 필요

전기아크로 등 中 탄소중립 대전환 수요품목 공략 필요

  • 철강
  • 승인 2021.11.11 16:27
  • 댓글 0
기자명 엄재성 기자 jseom@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OTRA,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제 추진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 발간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제 추진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 표지. (사진=KOTRA)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제 추진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 표지. (사진=KOTRA)

중국이 탄소중립에 나서면서 신재생에너지 설비와 전기아크로 관련 설비, 철스크랩 등 관련 품목의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국내 철강금속업계의 대응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월 16일 중국은 약 2,000개사가 참여해 40억 톤 규모의 탄소배출권을 거래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탄소배출권거래소를 출범시키고 글로벌 탄소중립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다.

이에 KOTRA(사장 유정열)는 10일 ‘중국 탄소배출권 거래제 추진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중국이 어떻게 탄소중립을 준비하고 있는지, 우리 기업이 잘 이해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중국의 탄소배출권거래제 운영 현황과 산업별 영향에 주목했다.

중국은 거래소 도입 초기에는 탄소배출권 거래 규범화를 통해 의무감축에 주력하고, 향후 상쇄 배출권을 통한 자율감축과 연계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는 탄소배출이 가장 많은 전력발전 산업을 중심으로 배출권 거래를 적용하고 있지만, 2025년까지 철강, 화학공업 등 8대 고에너지 소모 산업에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중국의 탄소배출권거래제 도입은 에너지, 철강, 화학공업 등 산업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국은 2020년 기준 석탄화력발전 비중이 전체 발전량의 61%를 차지해 에너지산업의 탄소배출량이 46억 톤을 넘어섰다. 이를 상쇄하기 위해 2060년까지 풍력, 태양광 등 청정에너지 발전 설비용량을 전체의 9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세계시장의 약 53%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의 철강산업은 2020년 탄소배출량이 18억 톤에 달하고 있다. 따라서 허베이(河北)성, 장쑤(江蘇)성 등 14개 주요 생산지역은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해 이미 철강 감산 조치를 시작했다. 일례로, 베이징 인근의 허베이성에서는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깨끗한 하늘을 보여주기 위해 올해 철강생산량을 전년 대비 2,171만 톤 감축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태양광산업은 중국 탄소배출권거래제 도입으로 가장 큰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의 태양광 발전 설비 총용량이 올해 308GW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에 필요한 단결정·다결정 실리콘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2021년 상반기 중국이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폴리실리콘(다결정 실리콘)의 양이 전년 동기 대비 234% 증가했다.

중국은 탄소배출권 거래제 도입으로 전력, 철강 등 탄소배출 규제 대상 업종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또한, 그 과정에서 태양광·수력·풍력 등 청정에너지 발전설비와 철강 전기로 도입, 철스크랩 재활용 등 관련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중국의 산업구조조정으로 중국과 경합하고 있는 철강산업의 경우, 국내 유통 가격 상승과 실적 호조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김태호 KOTRA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중국이 206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계획을 실행하는 가운데 우리 기업에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같은 위기와 유망시장 진출의 기회가 동시에 다가오고 있다”며 “KOTRA는 우리 중소·중견기업들이 중국의 탄소거래제 도입에 따른 영향에 대비할 수 있도록 현장 정보를 제공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