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신재생에너지 시장 주목"

"중앙아시아 신재생에너지 시장 주목"

  • 철강
  • 승인 2022.10.04 14:56
  • 댓글 0
기자명 박재철 기자 parkjc@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트라, 중앙아시아 신재생에너지 전환환경 분석

중앙아시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을 주목하고 협력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코트라(KOTRA)는 4일 '중앙아시아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과 협력방안' 보고서를 발간해, 에너지전환 시대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신재생에너지 전환환경과 전략을 분석하고 한국과의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코트라에 따르면 중앙아시아의 대표적인 자원부국인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은 지난 수십년간 원유와 천연가스 채굴을 통한 에너지 생산을 지속해왔으나 최근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들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이를 촉진하는 요인과 저해하는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은 원유·천연가스·석탄 등의 화석에너지 자원이 풍부해 수십년간 이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생산이 고착돼왔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전환에는 ▲경제성 부족 ▲기술과 전문인력 부재 ▲전통에너지 공기업들의 소극적 전환과정 참여 등이 동 분야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최근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2019년 기준 신재생에너지 생산용량은 수력발전 1.8GW에 불과했으나, 2030년까지 수력 3.8GW, 풍력 3GW, 태양광 5GW 등의 용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풍력의 경우, 카라칼팍스탄 지역의 평균 풍속이 8㎧를 넘어 고효율 발전이 가능하며 태양광의 경우, 부하라, 사마르칸트 등의 지역에서 효율성이 높게 측정돼 전반적으로 개발 잠재력이 타 국가에 비해 높다.

카자흐스탄은 우즈베키스탄보다 앞선 2000년대 후반부터 관련 법규를 도입하고 각 에너지원별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수력발전은 소련 시기에 건설된 노후 발전소의 현대화 작업을 진행 중이며, 풍력은 유망지역인 아티라우, 망기스타우 지역을 중심으로, 태양광 발전은 중국 및 러시아기업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개발 과정에서 '카즈무나이가즈(KazMunaiGas)'와 같은 국영에너지 기업의 참여는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추후 신재생에너지 분야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중앙아시아의 에너지전환에는 중국, 러시아뿐만 아니라,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기업들도 참여를 확대하면서 향후 시장변화를 주시하고 있다. 우리 기업들 역시 성장하는 중앙아시아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대한 진출을 염두에 둔 산업협력과 진출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국별 개발단계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전략 전개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제조업 연계협력 ▲에너지 공기업 및 지방정부와의 협력 강화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김태호 코트라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중앙아시아 지역의 신재생에너지 개발은 이제 태동하는 단계이며 향후 성장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지금은 우리 기업들이 시장변화에 따라 협력전략을 수립해야 할 적기"라면서 "중앙아시아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한·중앙아 양국 간 향후 경제협력에서 중요한 축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