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에는 희소금속의 개요를 통해 희소금속의 정의와 특징, 글로벌 현황, 국내 희소금속 산업을 살펴보았습니다. 제2장에는 총 35종(56원소)의 희소금속을 7개로 분류해 정리하였습니다. 이 밖에 제3장은 희소금속의 기능과 산업에의 응용, 제4장 희소금속의 대체 재료기술과 리싸이클, 제5장 희소금속 자원의 확보 전략 등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저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권혁천 수석연구원과 김범성 한국희소금속산업기술센터장의 두 분 명성에 걸맞게 희소금속에 대해 궁금해하는 사항을 실타래처럼 쉽게 풀어 놓았습니다. 누구나 한번 모면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일목요연한 정리했습니다 많은 관계자의 필독서(必讀書)가 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머리말 • 007
발간사 • 009
제1장 희소금속의 개요 • 011
   1. 희소금속 정의와 특징 • 013
      1-1. 희소금속의 정의 • 013
      1-2. 희소금속의 특징 • 014
   2. 희소금속의 글로벌 현황 •016 
   3. 국내 희소금속 및 희소금속 산업 • 018
 제2장 희소금속자원의 종류 • 023
   1. 알칼리/알칼리토금속 • 025
      1-1. 리튬(Li) • 025
      1-2. 세슘(Cs) • 033
      1-3. 베릴륨(Be) • 038
      1-4. 마그네슘(Mg) •044 
      1-5. 스트론튬(Sr) • 057
      1-6. 바륨(Ba) • 064
   2. 반금속 원소 • 074
      2-1. 실리콘(Si) • 074
      2-2. 게르마늄(Ge) • 086
      2-3. 주석(Sn) • 095
      2-4. 인(P) • 107
      2-5. 비소(As) • 115
      2-6. 안티모니(Sb) • 123
      2-7. 비스무스(Bi) • 134
      2-8. 셀레늄(Se) • 144
      2-9. 텔루늄(Te) • 152
   3. 철족원소 • 162
      3-1. 코발트(Co) • 162
      3-2. 니켈(Ni) • 173
   4. 보론그룹원소 • 183
      4-1. 카드뮴(Cd) • 183
      4-2. 붕소(B) • 192
      4-3. 갈륨(Ga) • 200
      4-4. 인듐(In) • 208
      4-5. 탈륨(Tl) • 218
   5. 고융점금속 • 227
      5-1. 타이타늄(Ti) • 227
      5-2. 지르코늄(Zr) • 239
      5-3. 하프늄(Hf) • 251
      5-4. 바나듐(V) • 259
      5-5. 니오븀(Nb) • 267
      5-6. 탄탄륨(Ta) • 275
      5-7. 크로뮴(Cr) • 284
      5-8. 몰리브데넘(Mo) • 294
      5-9. 텅스텐(W) • 305
      5-10. 망가니즈(Mn) • 318
      5-11. 레늄(Re) • 328
   6. 백금족금속 • 337
      6-1. 루테늄(Ru) • 337
      6-2. 오스뮴(Os) • 345
      6-3. 로듐(Rh) • 351
      6-4. 이리듐(Ir) • 360
      6-5. 팔라듐(Pd) • 368
      6-6. 백금(Pt) • 376
   7. 희토류금속 • 386
      7-1. 개요 • 386
      7-2. 미래전망 • 387
      7-3. 스칸듐(Sc) • 389
      7-4. 이트륨(Y) • 394
      7-5. 란타넘(La) • 400
      7-6. 세륨(Ce) • 409
      7-7. 프라세오디뮴(Pr) • 417
      7-8. 네오디뮴(Nd) • 425
      7-9. 프로메튬(Pm) • 435
      7-10. 사마륨(Sm) • 440
      7-11. 유로퓸(Eu) • 449
      7-12. 가돌리늄(Gd) • 457
      7-13. 터븀(Tb) •465 
      7-14. 디스프로슘(Dy) •473 
      7-15. 홀뮴(Ho) • 480
      7-16. 에르븀(Er) • 486
      7-17. 툴륨(Tm) • 492
      7-18. 이테르븀(Yb) • 500
      7-19. 루테튬(Lu) • 508
제3장 희소금속의 기능과 산업에의 응용 • 517
   1.  IT 기술과 희소금속 • 519
      1-1. 개요 • 519
      1-2.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희소금속 • 524  
   2.  수송기기와 희소금속 • 525
      2-1. 개요 • 525
      2-2. 자동차와 희소금속 • 526  
      2-3. 항공기와 희소금속 • 544
   3.  사회 기반기술과 희소금속 • 545
      3-1. 태양광에너지 • 545
      3-2. 풍력에너지 • 548 
   4. 의료기술과 희소금속 • 552
      4-1. 개요 • 552
      4-2. 생체용 Ni free 스테인리스강 및  
              코발트 합금 • 552
      4-3. 생체용 Ti 합금 • 554
      4-4. 생체용 Mg 합금 • 554
      4-5. 치과용 귀금속 합금 • 555
 제4장 희소금속의 대체 재료기술과 리싸이클 • 557
   1. 인듐 대체 ZnO 투명전도막 • 559
   2. 희토류 자석을 위한 디스프로슘(Dy) 
       사용량 저감기술 • 561
   3. 니켈대체 스테인리스 강철 • 561
   4. 납 대체 압전재료 • 563
   5. 초경합금에 있어서 텅스텐의 대체 • 564
   6. 코발트 대체 리튬 전지 • 567
   7. 희토류 원소 프리의 마그네슘 합금 • 568
   8. 백금(Pt) 촉매의 신규 조제와 
       효율적 이용기술 • 568
 제5장 희소금속자원의 확보 전략 • 571
   1.  희소금속 주요 선진국의 자원정책 • 573
      1-1. 미국 • 573
      1-2. EU • 574
      1-3. 일본 • 576
   2. 국내 희소금속 산업 현황 및 문제점 • 580
   3. 국내 희소금속 산업발전을 위한 
       자원확보 전략 • 589
 부 록 • 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