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하락에 따른 수입소재 가격차이 벌어져 수입산 소재 사용업체와 판매 경쟁력 확보 어려움 가중
철강 제조원가 3개월 연속 하락…환율 영향에 67만 원까지 낮아져 중국산 오퍼는 다시 꿈틀
수익은 늘었지만 수요는 실종…하반기 감산 시나리오에 무게
5월 H2 FAS 4만2,389엔 전월比 899엔↓ 최근 수출 시세 수준…시황 변동은 없을 듯
실수요 시황 부진에 주요 강종 가격 동결..前분기와 달리진 2분기 價정책
감산 기대에 3,300위안 재진입…건설 부진 속 실수요 회복은 여전히 더뎌
2개월 연속 주요 강종 출하價 유지키로…1분기의 적극적 價 인상과 대비 LME 니켈 가격 ‘꿈틀’ 및 페로크로뮴價 인상·AD 판결에도…수급 상황 고려
경인·중부권 인하대오 균열 동국제강 인천 단가 유지 세아베스틸 생철류 동결 포스코도 생철류 한해 인상
원가 부담은 줄었지만, 수요 부진·수입재 공세에 시중가격 발 묶여
건설 수요 부진에 수요 감소 심화…수출 확대에도 시장 약세 지속
포스코·현대제철, 반덤핑 효과 속 실수요가 협상가 반영 조선 수주 호황에도 후판 투입량은 줄어
24일 HS CFR 4만7,500엔 제시 등급별 1,500~2,500엔 인하
쇳물값, 반등 뒤 재하락…철강업계는 여전히 수익성 고민 중
7개월 만에 3,200위안대로 밀려 한국향 오퍼價도 롤러코스터
튀르키예 2주 연속 '뚝뚝'…총 50달러 급락 유럽산 저가 판매→미국산 동참 이어져 대만 컨 연초 수준 회귀 전망…日도 엔강세↓
中 용강, 4월 계약 톤당 470달러(CFR) 제시 5년 만에 최저 수준…유통원가 70만원 안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