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 및 고온 응용 분야 밸브 수요 증가, 주단조업계, 수요자 맞춤형 제품 공급 필요
남동부 재건 프로젝트 및 도시화 정책, 대형·첨단 인프라 프로젝트로 건설재 수요 증가
3월 실적 전월比 90.6% 급증…누적 수입은 24.2%↓
천연가스 구동 DRI 용광로 및 전기아크로 설치해 연 150만 톤 규모 판재 생산
철강 수출 전년比 48.3% 감소, 완제품 소비 및 철강 수입 전년比 각 4.9%, 5.9% 증가
연간 150만 톤 후판 생산 예측 사우디‧中, 협력 범위 지속 확대 전망
올해 공장 가동률 70%대로 상승, 상반기는 내수 집중 후 하반기부터 수출 확대 전망
공급 증가에 따른 국제 가격 하락으로 향후 5년 간 철광석 수출액 감소 예상
튀르키예 강진 여파…철강 수출, 대부분 내수 전환 이스라엘, 튀르키예 선재 최대 수입국 지난해 말 FTA 발효, 국내도 신규 활로 모색 가능
특수강·주단강·강관 부문 수요 증가 기대, 관련 법안 통과에 해상풍력 프로젝트 투자 가속화 관련 철강제품 직접 수출 및 현지 그린스틸·그린수소 산업 가치사슬 구축 참여 필요
열연강판 등 소재 공급 부족 가시화, 향후 건설용 철강재 수요 증가 예상
석탄 수입 전년比 2.2% 감소, 탄소중립 강화에 선철 수입은 전년比 13.3% 증가
2021~2027년 연 평균 6.03% 성장, 2027년 시장 규모 54억 달러 예상
인도·일본 수요 감소와 수소환원제철 확대에 장기 수요 감소 및 가격 하락 예상
조강 생산 전년比 12.9% 감소, 소비·수출·수입 각 전년比 2.6%, 23.5%, 3.6% 감소
전력 및 가스, 물류 인프라 파괴로 정상 가동까지 상당한 시일 소요 예상
2022년 총수출 174만톤…6년래 최저 지난해 베트남 수입 44.6% 급감 영향 EU 이어 호주도 올해 수출 억제 물꼬
카데미르(Kardemir) 제철소, 빌릿 2만5천톤 내수 판매
남부 이스켄데룬 항구, 지진 영향 봉쇄 이즈미르 등 기타 지역 관망세 지속
글로벌 철스크랩 지표 튀르키예 시장 연쇄 지진으로 주요 물류 및 인프라 붕괴 1995년 고베 대지진 이후 2개월 급등
2022년 총수입 2,093만톤 3년 만에 감소로 돌아서 하반기 수요 급감 영향
탄소중립 강화 및 대체 원료 구매 확대에 선철 수입 전년比 9.8%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