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지역 모두 상승 유지… 급격한 상승·단기 고점 전망도
주식 전환 시, 114만주 규모 대선조선 본계약 이행 목적
11월 누계 기준 일반형강 내수 판매량 약 66만톤, 전년比 10%가량 줄어 ㄷ형강 판매량 14만톤 수준 기록, 10년 평균 판매량 대비 37% 이상 감소
조선업계 원가절감에 기여, 상업성도 인정 동국제강 유일 후판 브랜드 ‘DK-LP Plate’
선물價·유통價 ‘한주 만에 동시 700달러대 재진입’ 재고 3주 연속 증가 ‘시기적 영향 풀이’
1월 14~15일 이틀간 온라인으로 개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레이저 최신 동향 소개
일본 칸토 테츠겐 경매 이후 본격 구매 예정, 호주 및 미국산 철스크랩 수입도 확대
주문 넣어도 원하는 만큼 받지 못해 중국 제조업체들도 주문 조절 나서
지난해 한국과 일본 철근價, 각각 톤당 60만원대, 6만엔대 기록 반면 올해 초순 기준 각각 톤당 70만원, 7만엔 이상의 가격 형성 가격 강세 이어갈 가능성 높아
한 달 새 110달러 인상 후폭풍 수입업계 “추가 인상 있을 것”
아시아, 유럽, 북미 등 전체적인 가격 상승 분위기 내수판매 증가에 수출 물량 조절 나서
KOTRA, ‘미국 대선결과 따른 경제·통상정책 전망과 시사점’ 발간 건설기계 등 수요산업 수출은 호조 예상, 탄소국경세 도입 시 철강 수출은 난항
철근업계, 7만엔 제시 이후 곧장 8만엔 수준까지 끌어올려 원자재價 주도 시장 이어질 것
그린 뉴딜의 한축 수상태양광 각광 태양광 구조물 등 철강 연관수요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