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에 이어 지속적인 협업체계 구축하며 탄탄한 사업기반 마련 수입 사료원료의 안정적 조달을 통해 국내 물가안정과 식량안보 기여
철강재료연구실의 고성능 경제형 STS 등 다양한 기술 개발 성과 발표
망가니즈 매장량 세계 3위, 생산량 세계 6위이나 망가니즈 제련시설 부족 산업계, R&D 협력·망간 제련 기술 이전 등으로 안정적 공급망을 구축 필요
유사한 가치 공유하는 원자재 수요국 및 자원 부국이 참여하는 공급망 구축 제안
철스크랩·선철·석탄 수입 각 전년比 16.4%, 12.8%, 8.8% 감소
1,300만 유로 투입해 2024년 4분기 가동 예정, 최종적 연간 선철 100만 톤 생산
건설 및 해외 투자 유치 증가로 2024년 철강 수입 증가 예상
10대 생산국 중 중국·인도·러시아·한국 증가, 日·美·獨·브라질·튀르키예·이란 감소 성수기 진입 및 車 생산 증가에 10월 생산 전월 대비 0.5% 증가
1~4호 저감숲 조성 통해 연간 약 2.1톤 탄소 저감 효과 거둬 지역사회 주민들 위해 도심 속 친환경 숲 조성에 지속 힘쓸 예정
11월 30일 오전 9시 30분 여의도 중기중앙회서 가족기업학회와 공동 개최
필리핀 최대 송배전社 메랄코 등 주요 에너지 기업과 글로벌 마케팅 강화
‘한-브라질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개최 공급망 확보, 무역·투자 정보 제공 및 네트워킹 행사 지속 개최 예정
중기중앙회, ‘2023년 제2차 뿌리산업위원회’ 개최 예산·인력·디지털 전환·전용 전기요금 신설·지방정부 협력 등 5개 분야 정책 지원 필요
무소음·무진동 등 기존 한계점 극복, 기존 대비 60% 에너지 절감
중기중앙회, ‘제2차 납품대금제값받기위원회’ 개최 “뿌리기업은 영업이익 43.9%를 전력비로 지출, 제도 적용 공급원가 기준으로 확장해야”
“유럽 철강산업의 탈탄소화 및 철스크랩 수급 확보, 불공정 무역 방지에 최선 다할 것”
미래세대인 어린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사업에 사용될 예정
전주, 창원 공장 투자를 통해 베어링의 국내 개발과 양산 이뤄 고용 증대와 납세 의무를 성실히 수행하여 국가 경제에 기여한 공로로 수상
산업부 표준공정모델 기반 로봇실증 수요기업 9개사, 공정컨설팅 27건 지원
기존 대비 최대 7.3% 생산성 향상 및 동급 최고의 신뢰성과 생산성, 내구성, 강성 자랑 냉각유 탱크 용량 및 칩 배출 공간 20% 증대, 작업자 친화적인 기능 개선
흑연 매장량 세계 2위, 생산량 4위로 6개 개발 프로젝트 진행 중 산업계, 브라질 대체 흑연 공급선 발굴해 네트워크 구축해야
소재價 하락 및 기타수익 증가에 영업이익·당기순이익도 ‘증가’ 북미 인프라 투자 확대, 신흥국 경기부양책, 車산업 회복에 4분기 실적 개선 전망
희토류 매장량 2,200만 톤으로 세계 2위, 공급망 리스크 해소 기대
“수소환원제철·EAF, 그린 수소 경제성·철스크랩 공급 부족으로 단기적으로는 실행 불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