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주요 생산국 중 인도·이란 제외 모두 감소 세계 경제 둔화에도 中·인도 생산 증가에 12월 생산 전월比 1.2% 증가
“글로벌 혁신 허브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기술전략 제시할 것”
인프라 및 자동차 부문이 수요 견인, 수출은 유럽 및 아세안 경기 회복 여부에 달려
무협, ‘미국의 공급망 핵심품목 리스트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 발간 “중국편중 원료소재 공급처 다변화, 배터리·반도체·연료전지 등 새로운 사업기회 확대 기대”
광양시 LNG 터미널에서 ‘제2 LNG 터미널 착공식’ 개최 2025년까지 133만㎘ 저장용량 확보해 국내 1위 민간 LNG 터미널로 부상
車강판·에너지 PJT용 수요 대응 강화, 프리미엄 건설재 확대 및 신시장 개척 추진
탄소중립·모빌리티 전동화·스마트 팩토리 등 철강산업 메가트렌드 대응 핵심 기술 개발
지역별 韓·美 수출 증가, 中·대만·태국 수출 감소, 품목별 중후판·열연 제외 모두 감소
탄소중립 강화 및 대체 원료 구매 확대에 선철 수입 전년比 9.8% 증가
국내 10개 산·학·연 함께 MOU 체결, 2027년 380MW급 수소 전소 터빈 개발 계획
“대외 악재에도 기술력 바탕으로 2022년 매출 향상 및 수익성 개선” ‘사형 몰드 가압 주조 공정 제조 기술’과 ‘모듈러 주조 커넥터 제조 기술’로 성장동력 확보
MOE 플랫폼 활용한 파일럿 공장의 친환경 철강 생산 규모 확대 고부가가치 금속 생산 위한 브라질 최초의 상업 공장 건설 지원
‘미래 경쟁력 강화’ 목표 세우고 협력사와 동반 성장 나서 미래 사업 확장 및 공급망 안정화 논의
수출 단가 32.7% 하락, 수출액 35.2% 감소, 대러 제재에 2023년 수출 증가 예상 호주 생산 증가에 수출 단가 하락, 수출액도 감소 예상
4억 달러 투자해 연 3만 톤 규모 생산공장 건설, 2024년부터 가동 예정
재료硏, 파인텍에 ‘압출형 한외여과 세라믹 분리막 제조 기술’ 이전
태양광·풍력·바이오매스 발전 확대, 수소산업 분야도 성장 전망 배터리업계와 현지 신재생발전시장 공동 진출, 에너지용 고부가가치 강종으로 공략해야
‘협동조합 전문인력 지원사업’ 참여 조합 모집, 9억4,000만원 투입해 전문인력 45명 지원
서유럽·미국·세계수출·중국 가격 각 8.3%, 5.5%, 4.2%, 3.4% ‘상승’
600mm 이상 STS 판재 수출 전년比 2.6% 감소, 600mm 미만은 33.6%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