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품목 제외하고 내수·수출 증가 수익 확보 움직임 이어져
포스코·현대제철 등 인상 잠정 확정 … 인상 폭은 고심 中·日 철강사 속속 인상 … 공급여건 여전히 불안
판매량 확대보다 최적 생산 체제 확립 원가 낮추고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집중
1월 전철강 수출 251만1,304톤 기록, 전철강 수입은 전년 대비 30.3% 감소 일본·인도·CIS·북미·대양주 수출 증가, 수입은 인도·터키·브라질 제외 모두 감소
구조용강관 건축물 적용 확대부터 북미 에너지용강관 시장 분석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김지상 위원장, "구조용강관 우수한 성능으로 건축 구조재로 탁월"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장형순 선임연구원, "철강사와 강관사 협업 통한 新벨류체인 구축"
휴스턴 SPS 이찬학 사장, "글로벌 수출 확대 위한 강관 제조 기술 개발 필요"
포스코경영연구원 추지미 수석연구원, "보호무역에도 유가 상승 및 미국 리그(Rig) 수 회복으로 강관 수출 개선"
대신증권 이동헌 연구위원, 美 에너지용강관 수출에서 아시아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 이동
국내외 철강사, 3월에도 잇띠라 가격 인상 발표 공급부족 상태 유지 … 中 수출환급률 조정 변수
52시간제 이어 중대재해처벌법까지 ‘첩첩산중’ 중견·중소 철강기업, 인건비·설비 투자 부담 가중 전체적 도입 방향 맞지만 시기와 여건 고려 아쉬워
포스코·현대제철·세아그룹·동국제강 등 연대 프로젝트 출범 제조공정 AI 설비 전환, 빅데이터 플랫폼 조성 등 추진 전기로 AI설비로 완전 탈바꿈 시도, 철강 센서도 자립화
中 유통價 조정 양상 … 코로나·춘절에 수요 둔화 우려 수출물량 여유 없고 선적지연 속출 … 韓 유입에 시간차
원료價 강세 여전 … 품목별 수급 여건도 빡빡 中 원료 수입 현물가격 ‘우상향’ … 5월 선물가격은 다소 하락 국내 철강제품 가격 2월 이어 3월까지 가격 인상 움직임 포착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브랜드화로 불황극복 나서 세아창원특수강 공구강 브랜드 DuRAH, DuMAC 론칭 세아제강지주, 영국 해상풍력발전 시장 진출
저탄소사회 전환과 한국의 그린뉴딜정책 그린뉴딜과 연계한 전기로 산업의 경쟁력 강화 필요
저유가 장기화에 해양플랜트 불확실성 확산 인발강관, ‘자동차 플랫폼’ 변화에 대응 필요
해상풍력 등 신시장 개척에 총력 구조관 업계 빈익빈 부익부 가속화
수도권 재건축 수요 및 재개발 확대로 철근 수요 늘어날 가능성 높아
2021년 선재 수출입 개선 전망…강선류 회복 기대 中 연초 회복세 이어갈까...日 정상화 작업 시동 공급 과잉 지속되는 시장 “해결할 문제 많다”
"어쨋든 새해, 긍정적 미래 봐야"..."기업은 멈추면 죽는다, "
최첨단 친환경 설비로 대기오염 막는다 부산물 재활용으로 환경개선과 자원절감 두 마리 토끼 잡아
철강업계, 코로나19 속 돌발변수 ‘조심’ 수요산업 간 디커플링·중국의 내수 중심 성장·비용 상승 등 ‘첩첩산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