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 신소재 개발 등에 걸리는 시간 및 비용 대폭 절감, 소재 개발의 새 패러다임 기대
9% 니켈강 등 LNG 연료탱크 제작용 극저온 특수소재 용접에 최적화 조선·기자재 기업과 현장 실증 협력 추진 중, LNG 연료탱크 저비용·단기간 제작 가능해져
KETI·강원대·RIST 공동연구팀, 리튬염 기반 계면 안정화 메커니즘 규명…Nano-Micro Letters에 성과 등재
포항 3제강공장에 ‘KR 자율조업’ 기술 개발 도입, 연 290억 원 절감 기대
타이타늄 소량 첨가와 열처리 최적화로 파괴 저항성·조사 저항성 대폭 향상 특허·상표등록까지 완료, SMR·우주 환경 구조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
수소 노출 환경 산업에 사용 가능한 금속소재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
포스코,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용 STS와 스마트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금상 수상 새 협회장에 일본제철 ‘사카이 요스케’ STS사업부장 선출…포스코 이경진실장 ‘부회장’ 연임
CFRP-금속소재 간 복합하중 시험방법 표준으로 최종 승인
굴 패각 등 수산부산물 재활용을 통한 자원 순환형 제강 원료 개발 가속화 친환경 제강 원료 도입을 통한 전기로 공정 탄소저감 강화 및 ESG 이행 역량 제고
ASME B31.12 규격 충족…고압 수소 배관용 핵심 강재 기술력 확보 국내·외 수소 인프라 시장 대응을 위한 기술 고도화 및 제품 경쟁력 강화 박차
‘수중 핵심기술 연구개발 세미나’ 개최, 미래 K-잠수함 주요 핵심기술 연구개발 과제 소개
KS D 3864, KS D 3632 등 건축 구조용강관 KS 인증 획득
재료硏 이상복 박사 연구팀, 전자파 99% 이상 흡수하는 극박 필름 형태 복합소재 기술 개발
국내 철강사 최초 미국 원자력소재 공급사 품질시스템 인증 'ASME QSC' 획득 글로벌 원자력용 강재 공급 준비 완료…국내외 원자력 프로젝트 수주 확대 추진
‘2025 대한민국 기계설비 전시회’에서 나사록패치 등 관련 제품 및 기술 전시
포스텍 연구팀, -196 ℃~600 ℃ 강도와 유연성 유지하는 새로운 금속 소재 개발
포스텍·포스코, 몰리브덴 의존 줄인 신소재 설계…화재 속 구조물 생존 확률 높인다
탄소 운반 수요 확대에 따른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 수요 증가 기대 포스코, 액화이산화탄소용 저압 및 중압 탱크용 강재 라인업 강화로 고부가가치 시장 선점
소재 분야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 및 투자 전략성 제고를 위한 임무 수행
총 783억 원 투입해 ‘금속소재 실증 테스트베드’와 ‘파워유닛 스마트제조센터’ 구축 주력 산업용 핵심 부품의 기술 자립화 및 소재·부품·장비 산업 혁신 기대
재료연구원 및 건국대 공동 연구 통해 탄소나노튜브 와이어 성능 검증 완료
현대제철, 한국조선해양·현대중공업과 신규 후판 및 대입열 자동 용접 기술 공동개발 완료 저온에서도 강재의 충격 인성 및 용접성 우수…선급 인증 후 내달 양산 및 공급 계획
KS V ISO 21635 제정…고망간 오스테나이트계 사용하는 3만㎥ 이하 LNG 탱크에 적용
플라스마 질화법 적용…질소 보호층 형성하여 인장강도 및 균일 연신율 향상 “별도 후처리 필요 없어져, 항공과 자동차 산업 등에 적용 전망”
초당 1,000억 개 철 이온 조사, 철강 재료 정밀 평가 가능 국내 유일 재료 전용 이온조사연구시설 구축해 차세대 원자력·핵융합 재료 연구 지원 확대
특수강 제품의 전체 수명주기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 모니터링 체계 구축 탄소배출 관리·저탄소 원료 전환·재생에너지 도입 확대 등 지속적인 탄소중립 활동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