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ME B31.12 규격 충족…고압 수소 배관용 핵심 강재 기술력 확보 국내·외 수소 인프라 시장 대응을 위한 기술 고도화 및 제품 경쟁력 강화 박차
‘수중 핵심기술 연구개발 세미나’ 개최, 미래 K-잠수함 주요 핵심기술 연구개발 과제 소개
철근·파이프 등 금속 자재 및 콘크리트·석재 작업에 적합
이차전지 전고체 소재 대응…비파괴·야간 자동분석까지, 고정밀 인프라 구축
KS D 3864, KS D 3632 등 건축 구조용강관 KS 인증 획득
유니스트럿, 전선관, 케이블 트레이, 철근, 앵글, 평철 등 폭넓은 금속재료 가공 가능
재료硏 이상복 박사 연구팀, 전자파 99% 이상 흡수하는 극박 필름 형태 복합소재 기술 개발
20mm 이상의 굵은 철근부터 콘크리트 등 다양한 대형 작업물 그라인딩에 적합
국내 철강사 최초 미국 원자력소재 공급사 품질시스템 인증 'ASME QSC' 획득 글로벌 원자력용 강재 공급 준비 완료…국내외 원자력 프로젝트 수주 확대 추진
현대제철 ‘2025년도 MRO 부문’ 우수공급사 선정, 제철설비용 감속기 품질 인정받아 김선경 회장 “고품질 감속기 개발 통해 국내 넘어 해외시장 공략 강화할 것”
성능 시험 연구 발주, 내구성·안전성 높여 소방 시장 판도 변화 예고 철강協, 기준 개정 발판 삼아 소화 시설 시장 공략…STS290 이어 적용 확대 '속도'
‘2025 대한민국 기계설비 전시회’에서 나사록패치 등 관련 제품 및 기술 전시
포스텍 연구팀, -196 ℃~600 ℃ 강도와 유연성 유지하는 새로운 금속 소재 개발
신제품 디케이 그린바(DK Green Bar)·디-메가빔(D-Mega Beam) 출시
2열연공장에 코일 결속 자동화 장치 구축 자동화로 작업 위험요인 원천 차단
탄소강, 합금강, 철계 소결합금 등 다양한 강 피삭재 가공 가능
포스텍·포스코, 몰리브덴 의존 줄인 신소재 설계…화재 속 구조물 생존 확률 높인다
탄소 운반 수요 확대에 따른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 수요 증가 기대 포스코, 액화이산화탄소용 저압 및 중압 탱크용 강재 라인업 강화로 고부가가치 시장 선점
소재 분야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 및 투자 전략성 제고를 위한 임무 수행
3가지 속도 및 토크 설정 기능, 2가지 작업 모드 제공 충전 상태 설정, 볼트 낙하 방지, 잠금 소켓 릴리스 등 기능 탑재
철강 부산물 슬래그와 폐플라스틱 결합한 철도 침목 개발로 지속가능성 선도 포스코, 사내벤처 기업과 함께하는 강건한 산업 생태계 조성 '앞장'
총 783억 원 투입해 ‘금속소재 실증 테스트베드’와 ‘파워유닛 스마트제조센터’ 구축 주력 산업용 핵심 부품의 기술 자립화 및 소재·부품·장비 산업 혁신 기대
금강, 신제품 '스테인리스 폴리우레아 코팅관' 공개..수질 안정·경제성 모두잡은 혁신기술 신뢰성 높은 국산 스테인리스·철강 사용하는 모범 수요 기업
기존 대비 내마모성·내치핑성 향상, 인코넬 등 다양한 내열합금 피삭재에 적용 가능
재료연구원 및 건국대 공동 연구 통해 탄소나노튜브 와이어 성능 검증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