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부터 2022년까지 소재 가격 변동에 매출액 상승 '실적' 반짝 올해 건설 경기 악화에 구조관 수요 감소로 실적 악화 불가피 매출액과 판매량 유지 보다 수익성 확보 필요
8만6,228톤 전년比 28.9% ↓ 가전 ‘전진’ vs 건자재 ‘후진’
과감한 기업가 정신 바탕 시장 내 영향력 확대 신공장 투자 확약·신수요 시장 개척·포트폴리오 강화·핸들링 물량 극대화 등 대응법도 다양
김율양 르자우강철 차장, “경제성장 정책으로 중국 철강 가격 상승 부추길 것” A 철강 무역팀장, “중국 수출 오퍼 가격 상승 한정적이고 일시적”
CR 8.6%↓· GI 4.1%↓· EGI 17.3%↓ 국내 산업경기 악화로 中 수입도 ’급감’
서유럽·세계수출·미국 가격 각 15.2%, 9.0%, 2.2% ‘상승’, 중국 가격 0.8% ‘하락’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전병서 소장 ‘2023년 중국 경제전망과 철강산업 경기전망’ 발표 “부동산 경기 회복이 전체 철강 수요 증가 견인, 수요산업별 철강 수요 모두 증가 예상”
손영욱 철강산업연구원 대표, ‘국내외 강관산업 시장 현황 및 전망’ 발표 내수판매, 경제 부진 및 건설 경기 회복 지연에 영향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프로젝트 내년 본격 발주 계획
이재진 한국철강협회 실장 ‘철강 수급 및 수출 시장 전망’ 발표 주요 수출국 대상으로 철저한 통상 이슈 점검 필요
10월 판매 4만1,800톤 전년比 11.2%↓ 자동차 회복에도 건설 경기 악화 지속 고려제강 판매점유율 전월比 2.4%p 상승
총 3만6,500톤…내수·수출 각각 5.7%, 9.2% 줄어
친환경 전기자동차로의 패러다임 전환 대응 신규 수요 창출과 해외 주요 강관 시장 거점 확보
세계수출·서유럽 가격 7.9%, 4.2% 상승, 중국·미국 가격 1.0%, 5.8% 하락
철강協, 2022년 하반기 철강 수요 전망 2022년 철강 수요 전반적 감소세 예상 철강 시장, 변동성 확대... 수요 감소
상반기 금형 생산 전년比 6.9% 감소, 금형 수출은 10억 달러 벽 무너져 주력산업 경기 호조에도 신규 발주 감소, 신시장 개척 및 신수요 개발 필요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수요 증가에 2050년 풍력 설치량 4,100GW 전망 터빈, 베어링 및 기어박스, 파스너 등 풍력부품용 고부가가치 특수강 수요 증가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