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에 수출 영향 조선업계, 규제 강화에 호재
부도 및 법정관리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총 4건 생산 중단 업체까지 나타나 구조조정 가속화 경기 침체 영향에 재정 한계기업 증가
공작기계·플랜트·반도체 장비 ‘안정’ 건설기계 안정/호황, 디스플레이 장비 침체
하반기 신차 잇달아 출시하며 판매 회복 노려 개소세 연장 결정도 긍정적 미·중 무역 갈등에 수출 감소 전망
공기청정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등 新가전시대 열풍 국내 가전업계, 프리미엄 전략 확대
향후 10년 글로벌 경제의 변화에 따른 철강산업의 대응방안 제시
지난해 하반기 건설 수주 물량 올 상반기까지 반영 매출 위주의 물량 확보 보다 수익성에 집중
6개사 데크 사업 매출 4,561억원 기록 건설 적용구간 확대와 사업 다각화 나서
국내 자동차 산업 불황, 인발강관업계에 영향 자동차 부품사 거래 물량 반납
무역긴장·금융시장 불안 등으로 선진국·신흥국 모두 성장 둔화 전망
원자재 인상분 반영 실패로 적자구조 진입 세아제강 현대제철 등 대형 강관사 구조관 시장 진입
포스리, '철강 생태계 강건성 측정을 위한 접근방법 모색' 리포트 통해 분석
매출액 증가…높았던 제품 판매 단가 영향 매출액영업이익률 전년 대비 하락해…여전히 1% 수준에 불과
건설경기 등 전방산업 부진 여파…판매량 감소 전극봉 등 부자재 가격 급등…제품 가격 반영 어려워
中 증치세 인하 등 경기부양책 집중 경제지표 호전 미중 무역협상 타결 가능성 경기회복 낙관론 확산
4월 1일 NSSMC, 닛폰세이데츠(日本製鐵)로 사명 변경 일본 철강산업 3사 체제로 경쟁력 강화 구조재편 마무리 일제 강점기 일본제철로 돌아가, 현재 일본 모습 ‘투영’
2019년 철근 수입 가운데 중국산 비율 67% 육박 2018년 중국산 철근 평균 수입단가 톤당 576달러…2019년 톤당 508달러
3월 말 H형강 유통가격 톤당 79~80만원…철근 유통가격 톤당 69만원 수준 지난해 하반기 두 제품 유통가격 톤당 19만원 격차, 최근 톤당 10~11만원 격차 나타내
자가발생량 감소 추세 반면 수입량 증가 전망 2020년 값싼 중국산 철스크랩 유입 변수
“철근은 내수 집약적인 품목”, “철근 수출은 큰 의미가 없다”…업계 주목도↓ 다만 지난 10년간 눈에 띄는 변화 보여 결국 ‘수익성’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