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회의 열린 캐나다에서 양국 최종 합의 미, 英 철강·알루미늄에 쿼터제..시기는 불투명
무역위 조사 결과 수용…국내 산업 보호 위해 5년간 덤핑방지관세 적용 용진금속 18.81%·다른 베트남 공급자에는 11.37%…6월 30일까지 입법예고 의견서 접수
300계 2개월 연속 인하…6월, 전월보다 2배 큰 인하 폭 적용 니켈값 하락·수요 부진에 ‘수입재’ 압박 커져…일본제철, 할증료 인하 '고삐'
인수 승인 전제 국가안보협정(NSA) 美 정부와 체결 2028년까지 110억 달러 투자, ‘황금주’ 발행 의무
오는 6월 23일부터 수입철강재 사용하는 가전제품, 용접와이어랙에도 ‘50%’ 품목 관세 韓관세청, 대미 수출기업을 위한 안내자료 배포 “미국이 지정한 부과 대상 품목에만 적용”
철강·시멘트·화력발전 탄소배출권거래제 시행 무상할당 많아 철강價 단기적 영향 제한
연 케파 30만 톤, 역내외 석유·가스 부문 수요 대응 주철관 공장 설립도 추진…총 한화 약 1,600억 투자
냉장·냉동고, 식기세척기, 세탁기, 건조기 등 추가 관세 대상 품목 제외 알루미늄 부문 3개 품목은 지정 취소를 ‘취소’…관세 부과 대상으로 남겨두기로
12일 HS CFR 4만6,500엔 제시 시세 대비 1,500엔 이상 낮아
세계철강협회, ‘2025 세계 철강 통계’ 발표 韓·中·日 철강 수출, 3년 연속 글로벌 톱 3
쿼터제 해소 고려해도, 수출 위축 예상 "이미 일부 주문 물량 취소 나타나"
美 DOC 2023년도 연례재심 결과 발표…현대제철은 소폭 하향, 동국제강은 상승
추가 생산능력 아시아 비중 58%...중국, 인도 주도 중국 수요 감소, ASEAN·중동·북아프리카 증가
2024년 기준 韓 강관 캐나다의 최대 수입국으로 자리매김
톤당 1,321만4천~1,347만4천 동 베트남 양대 철강사 모두 동결
2025년 1~5월 수출 역대 동기 최대 5월 수출도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