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구원, 국내 최초 조사유기 응력부식균열(IASCC) 실증 장비 구축 최대 온도 360℃·200기압 이상의 원자로 내부 모사, 방사화 소재 시험 가능
합작회사와 1조원 규모의 주조·단조 공장 건설 계약 체결 예정 합작회사에 기술, 기술지원 및 운영 서비스 제공 계획
6개 계열사 브랜드 통합, 제품 설계부터 품질 검사까지 제조 혁신 가속화 지원
배터리 분야에 첨단 레이저 기술 적용·전문 인재육성 협력
국내 최초 폭발용접법을 통한 금형 냉각채널 이종접합기술 개발 공로 인정받아
TAC 기술 개량, 조향장치용 스티어링 요크 부품에 650Hv 수준의 경도 부여
산업환경 청정화 기술 2건 이전, 기업 내 테스트베드 구축해 실증 추진
3D프린팅으로 ‘우주발사체 추진제 탱크’ 경량화 및 공간효율 향상 구현 2020년 10월 생기원-항우연 간 ‘항공우주부품 제조자립 업무협약’ 후속성과
‘DX 기반 스마트 제조 혁신의 전략적 방향’을 주제로 진행 전시 기간 ‘미래 융복합 스마트 뷰티 특별관’과 ‘삼성전자 특별관’ 운영
석유화학, 철강 등 업종별 미세먼지·온실가스 감축 동향 및 노하우 공유
11월 4일~5일 한양대학교 ERICA서 진행, 한국형 뉴딜(그린+디지털) 표면 기술 집중 강연 코팅, 표면 처리, 필름, 점·접착 등 4개 세션으로 구성
고부가가치 창출할 의료·항공·모빌리티 분야로 확대 산자부 주최 전시회 동시개최로 연관 산업간 시너지 효과 기대
금속용 3D프린팅 기술 활용해 제조업 경쟁력 강화 나서 발전·항공·방위산업 등으로 3D프린팅 기술 적용 분야 확대
9월 29일, 10월 28일, 12월 2일 오후 2시부터 진행
생기원, 수계아연이차전지의 음극 표면 안정화 기술개발로 수명문제 해결 간편한 코팅 공정만으로 대면적 아연 음극에 보호막 형성, 양산 가능성 상승
‘디지털뉴딜의 미래’를 주제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조업 방향성 제시 500개 기업이 1,500여 개 부스 규모로 참가, 약 2만7,000명 참관
분말 소재보다 5배 빠르게, 대형 부품도 제작 가능한 복합시스템 구현
반도체소자 접합공정용 무(無)시안 금 범프 소재 및 도금 공정기술 개발 추진
친환경 적층제조 발전에 기여, UN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기반으로 지속가능성 추구 적층제조 녹색무역협회(AMGTA) 기반 회원사 가입
국내 기업에 기술이전해 제품 출시 성공, 외산 소재 대비 약 150% 생산성 향상
‘새로운 일반 탐색(Navigating A New Normal)’을 주제로 진행
폼랩 3D프린터 통해 맞춤형 수술 솔루션 제공 자체 개발한 가상성형 SW로 성형 후 모습 예측…환자들의 불안함 개선
‘디지털뉴딜의 미래’를 주제로 450개사 1,500개 부스 규모로 진행
기간 1/6로 단축하고 비용도 1/20로 절감, 1년 6개월간 해상 운용도 성공 동력계 핵심부품까지 3D프린팅 활용영역 넓혀
8월 25~26일 개최, 기계·장비/소·부·장/화학/바이오·SW 등 분야 46개 유망 기술 이전
2차 스마트공장 23개사 선정을 위한 현장평가 실시, 올해 총 273억원 투입
전기차 배터리 방열 소재·타이타늄 합금 블레이드·선형이온빔 표면처리 기술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