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D 선정,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 HyREX기술 기반의 철강업 탄소중립 주도
(수요산업 전망-건설) 2022년은 역대 최대… 2023년 공공 3.1%·민간 9.0%↓
2022년 기계산업 생산 및 판매 모두 감소, 2023년에도 수요 부진 지속 전망
지난해 철스크랩 구매·수입 전반 감소 거시경제 악화에 소비도 줄어 국내 자급률은 80% 중반 유지
중국, 제로 코로나 정책과 경기 부양책 관건 피치, 국제 철광석 및 석탄 가격 전망치 유지
철강 제조·유통업체, 비대면 시대 온라인 판매 비중 확대 이스틸포유, 신규 철강 서비스 출시 눈길...1월부터 신규 서비스 순차 오픈
불황 속 신성장동력 찾기 총력 한정된 수요 놓고 업체 간 경쟁 더욱 치열 기후 변화 대응 따른 철강 산업 영향 본격화
자원순환법 전부개정안 국무회의서 의결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법' 내년 초 시행 순환자원 지정·고시 등 부가 절차 남아 철스크랩 고품질 위한 공급자 지원도 절실
포스코, 친환경 브랜드 ‘그린어블’로 풍력시장 공략 친환경 美 태양광 하부구조물 강관 수요 기대 글로벌 풍력 시장 성장 국내 철강업계 호재
수요산업 회복 지연에 연간 1% 내외 회복 예상 하반기 中 반등 귀추
(신년특집-철강수급 전망)-철근 고금리 건설 경기 부진 우려
(신년특집-철강수급 전망)-형강 금리 상승 악영향 수요 둔화 지속 우려
에너지용강관 북미 수출 호조 예상 건설 경기 침체에 내수판매 흐림 美 현지 공장 설립으로 필요성↑
생산 효율성 고려해 가동 중단 등 탄력적 생산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용 후판 수요↑
포스코 포항제철소 생산 정상화 제조업계 탄력적 설비·재고·계획생산 가능
무계목강관, 원산지 표시위반 제품 처벌 강화 車용, 수요 개발·현지 투자 등 신시장 진출
올해 상반기 STS 수요 우려 … 해외 기관 다소 긍정적 지난해 말 반짝했던 수입, 감소세 전환 예상 … 베트남산 문제 부상
생산, 수입 증가·경기 침체 가능성에 전년 수준 예상 美 중심 물가 안정 흐름·중국發 소비 진작 반등 기대
(신년특집-철강수급 전망) 종합 수요산업 회복 지연·팬데믹 기저효과 감소 영향 올해 생산·수입·수출 모두 한 자릿수 증가 예상
정부 불합리한 인증 규제 개선 기업활동 지원 초점 정책금융 81兆까지 확대 핵심산업 집중 육성 할당관세 대상 품목 확대·탄소저감 기술개발 녹색금융 지원·근로시간 등 노동개혁도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