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체전지 상용화 난제인 리튬 손실 문제와 계면 부반응 및 내부 단락 등 해결
‘DX 기반 스마트 제조 혁신의 전략적 방향’을 주제로 진행 전시 기간 ‘미래 융복합 스마트 뷰티 특별관’과 ‘삼성전자 특별관’ 운영
공장 배기가스 수준의 저농도 이산화탄소도 높은 효율로 전환 가능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기술 경제성 확보
석유화학, 철강 등 업종별 미세먼지·온실가스 감축 동향 및 노하우 공유
철계 내마모 복합소재 국산화로 ‘2021 한국산업대전’ 국무총리표창 수상
저전력 엣지 컴퓨팅 및 웨어러블 인공지능 시스템에 적용 기대
1년여 개발기간을 통해 용접재료 국산화 성공... 수입재 대비 약 30% 이상 비용 절감 9%니켈 강재와 용접재료 패키지 공급 추진 통해 육상 및 해상용 LNG 저장탱크 시장 공략
소재 국산화 이어 자동차 몰딩재 광폭 양산기술 개발 4피트 광폭 몰딩재 본격 양산...컬러 몰딩도 상용화 눈앞
국내 유일 건축구조용 강관 전 규격에 대한 공급 가능 체계 구축
선명한 AGS 측정 가능해져 열연·선재 수요업체 대상으로 시험분석 지원서비스 제공 ISO 등 국제규격화를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 중
3D프린팅연구조합 강민철 상임이사, 구리 및 구리합금 적층제조 기술 이슈 소개
11월 4일~5일 한양대학교 ERICA서 진행, 한국형 뉴딜(그린+디지털) 표면 기술 집중 강연 코팅, 표면 처리, 필름, 점·접착 등 4개 세션으로 구성
고부가가치 창출할 의료·항공·모빌리티 분야로 확대 산자부 주최 전시회 동시개최로 연관 산업간 시너지 효과 기대
금속용 3D프린팅 기술 활용해 제조업 경쟁력 강화 나서 발전·항공·방위산업 등으로 3D프린팅 기술 적용 분야 확대
9월 29일, 10월 28일, 12월 2일 오후 2시부터 진행
현대제철의 형석 구매비용 절감 기여 기대 국립환경과학원 재활용환경성평가 제도 신설 후 모범 사례
해수부, 고망간강 LNG 선박 적용 국제표준화 첫 걸음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비중 높여 LNG시장 공략
롯데건설, SK에코플랜트, 이지파트너와 공동기술 개발 및 검증 흙막이 공사시 H형강 대비 구조적 안정성 확보•공사비 15% 절감
디지털 트윈 기반 가상제철소 구현과 시뮬레이션으로 연원료의 최적 배합 찾는다 탄소배출과 수익성 고려한 최적의 연원료 구매•사용 의사결정 솔루션 제공
생기원, 수계아연이차전지의 음극 표면 안정화 기술개발로 수명문제 해결 간편한 코팅 공정만으로 대면적 아연 음극에 보호막 형성, 양산 가능성 상승
배터리 사이클링 효율성 개선 등 연구 추진 美 정부·의회, 산·학·연 연구 적극 지원 나서
국내 최초로 용접부 1Seam인 SAW 용접 방식의 대형 각형강관 생산 기술 개발
‘디지털뉴딜의 미래’를 주제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제조업 방향성 제시 500개 기업이 1,500여 개 부스 규모로 참가, 약 2만7,000명 참관
분말 소재보다 5배 빠르게, 대형 부품도 제작 가능한 복합시스템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