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 4개국 열연강판 반덤핑 조사 착수, 올해 수입 물량 절반 이상 영향
폰 데어 라이엔 차기 EU 집행위원장에 조속한 협약 체결 및 정책 지원 촉구 “철강산업 녹색 전환 위해 CBAM 효과적 운영, 에너지價 인하, 유럽 철강 협약 체결 필요”
2026년 6월까지 연장, 英 철강 보호관세 2026년 6월까지 연장
STS304·430 등 주요 강종 할증료 인하...니켈價 하락세와 유럽 수급 변화 반영 몰리브데넘 가격 강세에 STS316 할증료는 추가 인상
인도와 S/G 관련 무역 협상 결렬, 인도 정부 WTO 제소 등 보복 검토 유럽철강협회 “EU-美, 中 철강업계 과잉 생산능력 해결 위해 긴밀하게 협력해야”
Assofermet “年 163만 톤 부족” 베트남·일본·대만·이집트 등 수출 급감 전망
300계 4개월째·400계 5개월째 인상...수급 불균형 및 니켈 강세에 6월價 대폭 인상
수요산업계, 비용 증가에 EU 외부에서 저탄소 철강제품 직접 구매, 역내 유통가공산업 위축 EU 차원 정책적 지원 확대 및 공공조달·보조금 지급 규정 조속히 개정해야
2023년 우크라이나 철강 생산 전쟁 전 대비 71% 감소, 美·EU 지원에 공급 역량 회복 예상
316L 할증료 5개월째 인상...STS316·STS430도 최소 3개월 연속 인상 노조 파업과 재고 감소, 원가 인상, 수요 회복 등 맞물려 상반기 공격적인 수익 확보
“현재 녹색 전환은 기업에 비용 부담만 전가, 재정 지원 확대하고 CBAM 확대 적용해야”
2027년부터 순차 시행, 기업에 환경·인권보호 의무 부여해 韓 대기업 부담 가중 우려
국가별 독일이 70%로 최대, 기업 중에서는 아세로미탈이 28%로 최대 기존 고로의 수소환원제철소 전환에 중점, 보조금 투입 확대 및 조기 투입 의견 대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