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관말뚝 장경간 교각기초 설계 적용을 적극 유도 및 홍보할 필요

강관말뚝 장경간 교각기초 설계 적용을 적극 유도 및 홍보할 필요

  • 철강
  • 승인 2008.12.01 10:01
  • 댓글 0
기자명 김상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강관말뚝 시장확대 방안에 대한‘하반기 강관말뚝자문위원회 워크숍’이 28일 르네상스호텔에서 개최됐다.

강관말뚝의 시장규모는 연간 50만톤 내외로 최근 5년간 주력시장인 500mm가 PHC 말뚝의 급성장으로 연간 23만톤이 잠식이 되면서 점유율이 25%에서 20%로 하락해 국내 강관말뚝 시장확대 방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날 워크숍은 지난 5월 국내 강관말뚝 시장확대 방안에 대해 설계기술, 시공기술, 신기술부문의 산업계, 학계, 연구소, 실수요업체 관계자들의 지난 5개월간의 연구용역 결과보고가 있었다.

 ■ 설계기술분야
 
▶ 고속도로 설계분야 한국도로공사의 전경수 차장

전 차장은 "현재 고속도로 설계경향은 도로공사가 품질관리가 철저해 강관말뚝이 90%로 PHC 말뚝 10%보다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특히 교대에서는 횡방향력에 대해 강관말뚝이 우수해 대부분 강관말뚝이 사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PHC 말뚝은 절단시 힘드지만 강관말뚝은 용접으로 쉽게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덪붙였다.

그러나 "PHC 말뚝이 가격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품질에도 신경을 쓰고 있어 품질만 좋아지면 강관말뚝 시장을 잃을 수 있다"고 말했다.

▶ 주거분야 대한주택공사의 임해식 박사

임해식 박사는 강관말뚝의 적용현황에 대해 발표를 하면서 "주공의 년 말뚝 시공량이 년간 28만3,000개로 단위기준 세계최대인데 SIP가 년간 12만7,350개로 전체 말뚝의 45%를 차지한다"며 "설계경향은 소음, 진동 등 문제로 SIP(매입) 공법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공동주택 중소구경 말뚝 물량이 최대인데 강재료의 강도를 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폐색효과 및 암반거치(선굴착 공법), 필요 부위 휨강성 보강 방법이 있다"고 말했다.

▶ 철도분야 한국철도기술공사 구기옥 박사

구기옥 박사는 "강관말뚝이 수평이 크게 작용하는 교대나 옹벽구조물에 적요되고 있다"며 "소음진동 민원해결을 위해 매입말뚝으로 변경할 경우 PHC말뚝을 선정하고 있고, 말뚝재질 선정시 공사비 측면으 고려한 재료비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고 밝혔다.

또한 "설계현황과 경제성 분석 결과 고속철도와 일반철도 교대 및 연약지반에서는 강관말뚝을 적용했고, 원 설계에 적용한 강관항타에 의한 민원발생시 저소음, 저진동 공법 적용으로 증가하는 공사비를 말뚝재질 변경으로 해결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 박사는 "강관말뚝이 시공 및 운반의 용이성 등 장점이 있지만 PHC 말뚝에 비해 재료비에서 불리해 강관이 경제성 개선이 필요하고, 일반철도의 경우 수평저항력이 큰 강관의 장점이 고려될 수 있는 장경간 교각기초 설계 적용을 적극 유도 및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덪붙였다.


김상우기자/ksw@snmnews.com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