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銀, “내년 상반기 침체, 하반기 상승 기지개”
올 4분기엔 전 부분 마이너스 성장 전망
정부의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확대에 따라 내년 건설투자가 다소 살아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소비심리가 냉각되고 기업들의 설비투자가 줄어들면서 건설경기 회복도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내년 상반기까지는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9년 경제전망’에 따르면 내년 건설투자는 올해 대비 2.6% 증가할 전망이다. 건설투자가 증가하는 가장 큰 배경은 SOC 투자 확대다.
한은측은 “주거용 및 비주거용 건물 건설의 부진 심화에도 정부의 SOC 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건설투자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참여정부의 혁신도시, 행정도시 등 국토균형개발사업도 정부의 광역경제권 발전전략의 하나로 계속 추진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내년 상반기까지는 건설투자가 전기대비 0.1%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반기는 전기대비 1.6%,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하면서 회복세를 탈 것으로 점쳐졌다. 한편 내년 GDP성장률은 2.0%로 올해(3.7%)보다 1.7%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이 같은 전망이 이뤄지기 위해서올 4분기 지표를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올해 4분기 건설투자가 환란 위기 후 최악의 건설경기 침체로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올해 건설투자 성장률은 -1.0%로 추락이 예상된다. 이는 지난 1999년 -3.7%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GDP성장률도 4분기에 -1.6%로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점쳐졌다. 설비투자(-9.8%)와 민간소비(-1.3%), 상품수출(-15.5%) 등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김재천 한은 조사국장은 “경제상황에 대해 통화정책으로 대응하고 있고 정부의 재정정책도 상당히 강력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수치는 달라질 수 있다”며 “하지만 비관적으로 세계 경제성장률이 1%에도 못 미친다든지, ‘제로’ 수준이 되면 성장률이 더 낮아지고 마이너스를 보이는 최악의 상황도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한은의 경제전망 발표에 따라 각 경제연구소의 내년 전망 발표가 마무리됐다. 건설투자 전망은 최저 -1.8%(한국경제연구원)에서 최고 3.0%(LG경제연구원)까지 다양했다. 하지만 한국은행·KDI 2.6%, 산업연구원 2.3%, 현대경제연구원 2.2% 등 평균 2%대의 건설투자 성장을 예견했다. GDP성장률은 한은이 2.0%로 가장 낮게 전망했고, LG경제연구원은 3.6%로 가장 높게 예상했다. 한은과 한경연을 제외하고는 모두 3% 초·중반의 경제성장률을 예고했다.
<국내 경제성장 전망> (전기대비, %)
구분 |
2007년 |
2008년 |
2009e) |
2010e) | ||||||
01월 04일 |
02월 04일 |
03월 04일 |
4/4e) |
연간e) |
상반 |
하반 |
연간 |
연간 | ||
GDP 성장률 |
5 |
0.8 |
0.8 |
0.5 |
-1.6 |
3.7 |
0.9 |
1.3 |
2 |
4 |
-5.8 |
-4.8 |
-3.8 |
-0.7 |
-0.6 |
-3.3 | |||||
민간소비 |
4.5 |
0.4 |
-0.2 |
0.1 |
-1.3 |
1.5 |
0.5 |
1.1 |
0.8 |
2.5 |
-3.4 |
-2.3 |
-1.1 |
(-0.8) |
(-0.5) |
-2.1 | |||||
건설투자 |
1.2 |
-1.4 |
-1 |
0 |
1.8 |
-1 |
0.1 |
1.6 |
2.6 |
2.9 |
(-1.1) |
(-1.2) |
(-1.3) |
(-0.5) |
-1.6 |
-3.4 | |||||
설비투자 |
7.6 |
-0.4 |
0.9 |
2.1 |
-9.8 |
-0.2 |
0 |
4.4 |
-3.8 |
9.8 |
-1.4 |
-0.7 |
-4.7 |
(-7.2) |
(-8.4) |
-1.1 | |||||
상품수출 |
12 |
-1.8 |
4.3 |
-1.9 |
-15.5 |
3.6 |
9.1 |
-4.3 |
1.3 |
6.8 |
-12 |
-12.5 |
-8 |
(-15.2) |
(-2.8) |
-5.7 | |||||
상품수입 |
10.9 |
-1.9 |
4.2 |
-1.6 |
-13.7 |
4 |
8.6 |
-5.2 |
1.1 |
5.8 |
-11.1 | -9.2 | -10.5 | (-12.5) | (-1.7) | -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