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민간 기업이 손잡고 중소형 원자력 발전소(SMART) 설립을 추진한다. 이에 철강플랜트로 성장할 가능성에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박영준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은 9일 관계부처와 협의해 스마트 원자로 건설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총리실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과 스마트 원자로 건설의 세부사항을 논의하는 실무협의에 들어갈 계획이다.
특히, 스마트 원자로를 건설하려면 6,000억~7,000억원가량이 소요될 전망이어서 포스코, 현대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등 민간 기업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건설에 참여하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정부는 해외 입찰을 위해서는 시공경험, 실적이 중요하다고 판단, 국내 건설에 눈을 돌리기로 한 것. 정부는 2010년부터 2028년까지 총 7조원을 투입해 임해지역(미정) 215만9000㎡(약 65만 평)에 연구 및 기술인력 약 1000명 수용 규모의 제4세대 원자력 시스템 실증시설과 부대시설을 건설한다는 방침이다. 7조원 중에는 포스코, 삼창기업, 일진에너지 등 민간기업 투자유치도 포함됐다.
원자력연구원 주도로는 2011년 말까지 330㎿th 표준설계 인가(사업비 1700억 원)를 완료한 뒤 2016년까지 중소형원자로 1호기(사업비 6800억원)를 15만㎡(약 4만5000평)에 건설, 본격적인 생산체제에 들어갈 예정이다.
한편, IAEA는 2050년까지 세계 원자로 숫자가 약 1,400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원자력 발전은 현재 세계 전력의 약 15%를 공급하고 있다.
서의규기자/ugseo@snm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