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내외 경제여건 악화 속 경기 하향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올해보다 낮아질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15일 전경련이 민간·국책 연구소 및 금융기관의 경제전문가 2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경제성장률이 올해 5.9%에서 내년에는 4.3%로 1.6%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응답자 중 한 명을 제외한 모든 응답자가 올해 성장률 보다 내년 성장률이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경제성장에 가장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은 수출(50.0%)이며, 다음으로 민간소비(27.3%), 건설투자(13.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세계경제 회복지연에 따른 내년 수출둔화에도 불구하고 경제전문가들은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경제가 내년에도 여전히 수출주도형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본 것이다.
올해 수출과 함께 경제성장을 이끌고 있는 설비투자는 내년 성장기여도가 떨어질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해 큰 폭의 투자증가에 따른 기술적 반락, 반도체·LCD 등 첨단업종에 대한 대형투자 일단락, 임시투자세액공제제도 폐지우려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내년 투자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세계경제도 올해 4.5%에서 내년 3.8%로 성장률이 둔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내년도 주요국의 경제상황이 올해에 비해 나빠질 것이라는 예상에서 비롯됐다.
전문가들은 중국과 서유럽에 대해서만 올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응답했을 뿐 미국, 일본, 남유럽, 동유럽은 모두 올해에 비해 경제상황이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기관별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은 IMF 4.2%, 한은 3.7%, 삼성硏 3.6%, LG硏 3.3%, WB 3.3%였다. 국내 경제성장률은 정부 5%내외, 한은 4.5%, KERI 4.1%, LG硏 4.0%, 삼성硏 3.8%로 내다봤다.

환율의 경우는 전문가들의 72.7%가 내년에도 소폭 절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기관별로 삼성硏 1,110원, LG硏 1,100원, KERI 1,095원의 환율을 예상했다.
한편,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정부의 임시투자세액공제제도 폐지방침에 대해서는 경제전문가들의 68.2%가 기업투자를 위축시킬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