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규제 및 집단민원으로 인천 내 증설 어려움
11월 인천지역 어음부도율, 전월비 0.28% 크게 상승
최근 인천 시 소재 중소기업들에 '탈(脫) 인천' 바람이 불면서 인천시가 이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인천 내 철강업체인 P사는 수도권 규제와 집단민원으로 공장 증설이 어렵자 인천 본사공장을 팔고 평택 포승으로 이전을 적극 추진했다.
그러나 인천상의와 인천시의 ‘간절한’ 설득으로 평택 이전을 철회하고 인천에 남기로 했다. 이 회사는 인천상의가 강화대교 입구인 강화군 월곶리 일대에 조성하는 강화산업단지에 약 3만㎡의 용지를 분양받고 입주를 약속했다.
최근 인천 도심 개발사업이 가속화되면서 철거나 집단민원 등으로 OCI, 한화 등 대기업들이 땅값이 싼 경기, 충청지역으로 잇달아 이전하자 지역민들은 제조업 기반 위축을 우려했다.
2003년부터 올해까지 9년간 타 지역으로 옮겨간 인천지역 기업은 613개사에 달한다. 같은 기간 전입은 491개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인천시에서는 저렴한 가격에 공단을 분양하며 기업들을 회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검단산업단지와 김포 양촌산업단지는 분양가격이 3.3㎡당 200만~300만원으로 부담이 된다는 기업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첫 사업으로 인천상의는 강화산단을 조성하고 3.3㎡당 90만원대의 저렴한 분양가로 인천도심에서 이전하는 기업에 공급하고 있다.
한편 인천지역 11월 어음부도율은 전월보다 0.28% 상승한 0.42%를 기록했으며 부도액은 113억원을 전월보다 67억원 증가, 이 중 20억원 이상 고액 어음부도가 2건(73억원), 나머지 부도액은 40억원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