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일 동향
메탈 일제히 급등. 하락세를 지속하던 메탈이 이번주 들어 상승 전환, 특히 전일에는 일제히 급등하며 우려했던 저항선마저 돌파함. 일단, 전일 상승에 가장 큰 이유는 유로존 재무장관회의에서 그리스 2차 구제금융 지원안을 승인했기 때문. 한편, 美 증시는 혼조를 보였고, 유가는 상승함. 반면, 유럽증시는 하락했음.
그리스, 2차 구제금융 지원안에 대한 조건들.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구제금융 지원조건으로 그리스 GDP대비 정부부채 비율을 현재 164%에서 2020년까지 120.5%로 감축할 것을 요구. 2014년까지 대출과 보증을 통한 1,300억유로 규모의 구제금융을 제공할 예정. 이에 따라 그리스는 3월20일 만기인 145억유로의 채무를 상환하고 당장의 디폴트 위기에서 벗어날 듯.
또한, 민간채권단의 손실부담율은 액면가 기준 53.5%(순현재가치 기준 70%)로 합의. 이에 따라 그리스 부채는 약 1,070억유로 감소할 듯. 한편, ECB는 그리스 국채교환을 통해 얻은 450억~500억유로의 수익을 그리스 지원에 사용할 예정. 2010년에 제공한 1차 구제금융 금리도 인하하여 그리스 부채를 약 14억유로 감축할 듯.
지원안 승인 이후에도 남아있는 그리스의 난제. 이는 일부 국가들이 여전히 그리스 구제금융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 獨, 네덜란드, 핀란드 의회 등의 승인절차에 난항이 예상됨. 또한, 긴축에 지친 그리스 국민들의 반발, 시장에서의 신뢰회복 등의 문제도 남아 있음. 한편, EU/ECB/IMF는 그리스가 경제개혁과 긴축정책을 이행하지 않으면 그리스의 GDP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160%에 달할 수 있으며, 그리스가 2차 구제금융 지원을 받더라도 또다른 구제금융 위험이 있다고 언급함.
* 전기동
中, 1월 정련구리 수입 전월대비 감소. 중국의 1월 정련구리 수입은 전월대비 18% 감소한 335,480톤을 기록. 한편, 중국의 구리수입(비가공 구리 및 구리 반제품, 정련구리는 이 수입항목의 하위 항목) 가운데 정련구리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1월 81%를 기록하며 2009년 상반기 이후 최고수준을 나타냄. 중국의 구리수입이 반제품이 아닌 원재료 부문에 집중된 가운데, 중국의 구리 재고재구축 활동이 둔화될 가능성이 제기됨.
LME(3M) 전기동 가격 전일대비 2.59% 상승한 $8,449. 창고재고량은 전일보다 450톤 감소한 305,425톤. Cancelled warrants는 87,650톤.
* 금일 전망
넘치는 돈 돌고돌아 전기동까지....
악재가 사라지자, 전기동은 거침이 없었다. 돌파가 힘들 것만 같았던 저항선마저 뚫고 상승 마감했기 때문이다.
덕분에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도 다시 커졌다. 물론,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등으로 인해 밀릴 수는 있지만 당분간 급락은 없을 것으로 본다. 이는 당분간 유로존 불확실성이 소강상태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알다시피 유로존의 최대 변수였던 그리스 2차 구제금융 지원안이 전일 승인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최종 지원까지 여러 난제들이 있어 일시적인 조정을 겪을 수 있겠지만, 결국 승인될 것으로 보고 있다. 4월 그리스 총선 등의 정치적인 변수가 최대 변수이긴 하지만 지금 당장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배제해도 될 것 같다.
문제는 아직 중국의 전기동 수요가 살아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물론, 수차례 언급했듯이 2분기나 되어야 중국의 전기동 소비가 살아나기 때문에 중국의 수입증감 여부는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사실 지금 전기동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따로 있기 때문이다. 바로 투기적 매수 때문이다.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한 기관들이 전기동 물량을 늘리고 있다. 전일 시황에서도 언급했듯이 최근 투기적 세력들의 매수포지션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림 1] 달러, 유로 리보금리 하락하자, 전기동 상승
단편적으로 이는 리보금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위 [그림 1]에서 보듯이 유로 리보금리(R2)와 달러 리보금리(L1)가 하락하는 시기에 맞춰 전기동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거기에 향후 유동성은 더욱 풍부해질 것으로 본다. 거기에 최근 일본의 추가 양적완화와 중국의 지준율 인하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결론적으로 중국이 빠진 자리를 유동성이 메우고 있는 것 같다.
[그림 2] 저항선이 다시 지지선으로, 하루 더 상승?
전일의 저항선이 지지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다. 물론,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으로 보이는 매도로 인해 가격은 수차례 밀리기를 반복하고 있지만. 일단, 크게만 밀리지 않는다면 당분간 상승을 기대해 본다. 돈도 있고 분위기도 나쁘지 않은데 다시 살아난 기회를 한번 쓰고 버리긴 아깝기 때문이다.
예상레인지: $8,340~8,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