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주택건설 인허가 물량이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규 분양·착공 물량도 늘었고, 10월 주택거래량도 증가를 보이고 있어 9·10부동산 대책이 효과를 내면서 주택시장이 바닥을 찍은 게 아니냐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9월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은 총 5만2,216가구로 지난해 동월보다 18% 증가하며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8월의 3만9,030가구에 비해서는 33.8% 늘어났다. 8월에는 작년 동월 대비 물량이 20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한 바 있다. 1∼9월 실적은 37만3,393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24.8% 많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만6,734가구로 작년 동월대비 41.8% 늘었고, 지방은 2만5,482가구로 작년 2만5,395가구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만6,844가구로 29.1% 늘어났지만 아파트 이외 주택은 2.2% 줄은 1만5,372가구였다.
도시형 생활주택의 인허가 물량은 전국 9,858가구로 지난해 동월 7,345가구 대비 34.3% 증가했고, 전월 9,463가구에 비해서도 4.3% 늘었다.
지난달 입주자 모집공고를 내고 분양에 들어간 새 아파트는 총 2만8,726가구로 지난해 9월보다 18% 늘어났다. 그러나 지난 8월 3만4,780가구에 비해서는 21% 줄었다. 착공 물량은 지난달 4만7,467가구로 작년 동월대비 48.5% 증가했다. 특히 아파트가 3만1,858가구로 98.4% 늘었다. 준공 물량은 3만2,184가구로 25.8% 많았다.
인허가·분양·착공 등의 지표가 지난해보다 증가하며 일각에서는 주택시장이 바닥을 탈출한 것이 아니냐는 기대심리가 높아지고 있다. 9ㆍ10 대책 이후 주택거래량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수도권의 주간 거래량은 9월 평균 3,500가구에서 10월에는 5,200건으로 늘었다.
다만 9·10대책에 따른 취득세·양도세 감면 시한이 연말로 종료되기 때문에 회의적인 반응이 우세하다. 또한 지난달 인허가·분양 물량이 작년보다 늘어난 것은 지난해 9월에 추석 연휴가 끼어 있는 영향이 크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