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수출 작년보다 1.2% 증가
우리나라 수출이 4개월 만에 증가세를 보였다.
지식경제부는 1일 ‘10월 수출입동향’ 발표에서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월보다 1.2% 증가한 471억 6,100만 달러라고 밝혔다. 수출은 지난 6월 1.0% 증가한 이후 석 달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해왔다. 수입은 1.5% 증가한 433억 6,1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지난달 무역수지는 38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수출입은 모두 전년 대비 증가했고, 무역수지는 9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갔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누계기준으로 보면 총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4,555억6,000만 달러, 총 수입은 0.7% 감소한 4,329억 5,300만 달러로 각각 집계됐다. 누계 무역수지는 226억700만달러였다.
지역별로 보면 아세안과 중국으로의 수출은 각각 21.1%, 5.7% 늘었다. 유럽연합(EU), 중동, 일본으로의 수출은 각각 2.0%, 0.7%, 0.1%씩 증가했고 미국과 중남미로의 수출은 3.5%, 8.2% 감소했다.
경기 침체 속에서도 수출이 증가한 것은 석유와 IT, 석유화학 제품 등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석유 제품 수출은 작년보다 27.7% 증가했다. 고유가로 수출단가가 작년 10월보다 배럴당 6달러가량 올랐고, 수출 물량도 12% 이상 늘었다.
이외 품목별로는 무선통신기기 18.6%, 석유화학 6.9%, 반도체 6.7%, LCD 1.6%, 자동차부품 -1.9%, 철강 -3.5%, 선박 -29.7%를 기록했다.
다만 환율 하락으로 원화 환산 수출액은 3.1% 줄어 4개월 연속 감소했다.
작년 수출액 상위 10위권 국가의 올해 1∼8월 수출 증가율은 중국 7.1%, 미국 5.6%, 독일 -4.3%, 일본 1.1%, 네덜란드 -2.9%, 프랑스 -4.9%, 이탈리아 -5.1%, 러시아 3.9%, 벨기에 -7.7%로 조사됐다. 한국은 작년에 19.0%로 7위였으며 올해 1∼8월은 -1.5%로 집계됐다.
한편 지식경제부는 4분기에는 EU 등 주요국의 경기 회복 지연으로 수출이 크게 늘기는 어렵지만 연말 소비 수요가 늘기 때문에 완만하게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