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에 직면한 韓國 철강산업

위기에 직면한 韓國 철강산업

  • 철강
  • 승인 2013.02.18 06:50
  • 댓글 0
기자명 에스앤앰미디어 hyju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유럽철강연맹(Eurofer)의 볼프강 에더(Wolfgang Eder) 회장은 심각한 메시지를 전했다. 원가와 설비능력 등에서 획기적 구조개편을 단행하지 못한다면 원가 경쟁력 상실로 향후 15년 내에 서유럽 철강산업이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현재 전 세계 철강산업이 경제 전반의 부진에 따른 수요 감소와 더불어 설비 및 공급 과잉 때문에 가동률 하락과 수익성 저하로 몸살을 앓고 있다. 따라서 그중에서도 가장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유럽 철강업계가 생존의 위기감을 느끼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고 판단된다.

  그런데 이런 위기감에 대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전 세계 철강사들은 현재 비슷한 상황에 부닥쳐 있다고 볼 수 있다. 유럽뿐만 아니라 미국 등 선진국 철강사들 대부분이 판매량을 확보하지 못해 가동률이 극도로 낮아졌다. 폭발적 팽창을 거듭하던 중국 철강사들이 지난해부터 적자 내지는 수익 감소로 탄력을 잃었다. 연명(延命) 수준에서 벗어난 지 몇 년 되지 않는 일본 철강사들 역시 비슷한 처지다.

  이런 주요 철강국, 철강사들의 상황을 보면 그래도 우리는 조금 나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상황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우리 역시 결코 낙관적이라고 보기 어렵다. 국내외 시장을 막론하고 중국, 일본 철강사들의 마케팅 공세는 판매량 확보를 어렵게 하고 가격 하락 등을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 수출 수요를 상징하는 신흥 성장국들의 철강산업 부상은 그야말로 수출 판로 확보를 원천적으로 어렵게 하는 변화다.

  그런데 철강업계 내부와 국내외 환경, 특히 정부와 수요업계의 변화는 철강산업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정적으로 바뀌고 있다고밖에 볼 수 없다. 무엇보다 정부 정책 기조 변화는 그야말로 우리 철강산업의 존폐를 가를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하기 시작했다고 판단된다. 과거 철강산업의 성장은 정부 주도 철강산업 육성정책과 경제성장의 선순환, 그리고 철강인들의 소명의식과 적극성이 작용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최근 정부의 산업용 위주 전기료 인상, 공정위의 철강재 가격담합 집중 규제, 환경부의 스크랩 폐기물 재지정 등의 정책 변화는 정부가 철강산업에 대한 정책 기조를 육성 및 지원에서 규제로 바꾸었다고 볼 수 있다.

  그 저변에는 OECD 국가로서 정부의 개별산업 지원은 불가능하다는 측면도 있지만 나름 철강산업의 높은 경쟁력 인식이 바탕에 깔렸다고 판단된다. 여기에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난 탓도 크다고 해석된다.
  결국, 이번 위기 상황에서 우리 철강산업의 돌파구는 스스로 찾아나갈 수밖에 없는데 이에 대한 우리 업계의 인식과 협력 부족은 큰 문제다. 대표적인 사례로 올해 초부터 시행된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지금까지의 홍보, 관리 등 경과를 보더라도 알 수 있다.

  철강산업 존폐의 갈림길이라는 심각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업계 공동 인식과 협력, 그리고 더 적극적인 실행만이 우리 철강산업의 미래를 보장하는 길임을 명심해야할 때가 아닌가 생각된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