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마찰, 적극적인 대응 필요

통상 마찰, 적극적인 대응 필요

  • 철강
  • 승인 2013.02.27 06:50
  • 댓글 0
기자명 옥승욱 swok@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옥승욱 기자
  지난해부터 세계 철강산업에 가장 크게 떠오르는 이슈는 공급과잉일 것이다.

  중국에서부터 시작된 공급과잉은 수출로 이어져 현재 전 지역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은 보호무역주의를 들어 자국산 철강재 보호에 앞장서고 있다.

  자국산 철강재 보호에 최고 표적이 되는 나라는 최대 철강생산국인 중국이다.

  2011년부터 철강 순 수출국으로 전환한 한국 또한 세계 여러 지역에서 통상마찰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한국의 국가별 철강 제품 수입규제 현황을 보면 전 세계 14개국에서 38건이 규제 및 조사 중에 있다.
특히 2012년 이후 수입규제가 급증해 8개국에서 15개 품목이 피소를 당했다.

  최근에는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까지 철강 수입규제가 확산되는 추세다. 이러한 상황에서 업계에서는 통상 마찰의 사전 징후가 보이는 곳을 찾아 수출물량 조정 등의 선제 대응을 하고 있다.

  하지만 철강업체들 스스로 통상 마찰을 해결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는 듯하다.
자칫하면 담합 의혹을 불러 일으킬 수 있고 정부의 지원하에 외교적으로 풀어야 할 부분도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하루가 멀다 하고 세계 각국에서 일어나는 통상 마찰에 업계에서는 정부와 한국철강협회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부와 철강협회는 통상 마찰이 빈번히 일어나는 지역을 살펴보고 현재 그 지역의 움직임에 주시, 선제 대응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철강협회는 이 같은 업계의 목소리를 주의 깊게 듣고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체제 구축으로 통상 마찰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그것을 바탕으로 올해도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는 국내 철강업계에 수출이라는 한줄기 희망의 빛을 선사할 수 있길 바란다.

  또한 업계와 정보 공유로 통상 마찰 움직임을 보이는 지역에 정부와 협회가 외교채널로 ‘선대응후’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업체들 자체적인 대응보다는 조금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