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동
금주 전기동은 롤러코스터 행보. 지극히 감소한 거래량으로 인해 장은 많은 움직임을 보였음. 중국 측 경제 성장률에 대한 시장의 우려로 주초반 7300선을 중심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 전기동 가격. 목요일, 중국 물가지수의 하락과 연준 회의록에서 고용 지표를 필두로 한 전반적인 미 경기회복 신호로 달러화는 강세를 보이며 전기동 가격 하락압박을 가함.
금요일, 미국 12월 비농업부분 고용자수가 740K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203K)크게 하락했다는 보고 이후, 양적완화 움직임 기조 유지 기대와 함께 쏟아진 투기성 매수 물량으로 인해 전기동 가격은 크게 상승하며 전주 수준을 회복. 중국 12월 구리 수입량은 441,291톤을 기록하며 전월대비 1.3% 상승. 이는 수요측면 뿐만 아니라 Financing딜을 위한 신규 구리 수입 증가로 분석. 반면 2013년 중국 구리관련 총 수입량은 4.54m톤을 기록하며 2012년 대비 2.3% 감소. 금일 Codelco사는 칠레 항구 파업으로 인해 현재 수출물량 20,000톤이 묶여 있는 상태라고 발표. 파업지속 여부에 따라 수출 불가 물량 증가 예상.
*알루미늄
중국 자동차 판매량이 년간 2천만대를 기록하며 중국 측 알루미늄 수요에 대한 호재가 지속. 또한 국제 알루미늄 협회는 2014년 중국 알루미늄 수요가 연간대비 10% 가까운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또한 알루미늄 생산업체인 Alcoa 사는 연간대비 중국 측 10% 수요 상승과 더불어 2014년 국제 알루미늄 수요증가률이 2013년 대비 7%를 기록 할 것으로 전망. 하지만 알루미늄 시장의 공급과잉 현상은 2014년(106,000톤)에도 지속할 것으로 전망. 이러한 점으로 인해 알루미늄의 저가격 현상은 유지될 것으로 분석. 중국 알루미늄 시장은 생산용력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현재 지속 되고 있는 낮은 가격의 영향으로 10년이래 최악의 상황을 맞이할 가능성 존재. 2013년 중국 내 알루미늄 시장의 생산용력은 32m톤을 보일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2012년(27m)대비 18.5% 증가한 수치. 10년전 대비 6배 증가.
*니켈
1월12일 부터 시행 예정이었던 인도네시아 광물 수출 금지 정책이 어느정도 완화된 모습을 보이면서 특히 니켈선철에 대한 예외사안으로 인해 월-목 니켈 가격은 꾸준히 하락 하는 모습을 보임. 하지만 저가매수세 유입과 12일 니켈Ore를 중심으로 한 본격적인 수출금지 시행으로 인한 공급우려 사항은 시작에 작용 금요일 전일종가대비 3.18% 상승. 하지만 인도네시아 국내 확장 및 신축 제련소 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측면이 높고 이미 Freeport McMoRan Copper & Gold와 Newmont Mining사가 로비를 통해 예외사안에 대한 합의가 있었고, 이는 추가적인 수출금지 제외업체가 향후 발생 할 가능성이 다분. 싱가폴의 Ibris Nickel은 연간채굴능력 2m톤인 인도네시아 광산에 대한 잠정적인 운영중단을 결정. 이는 인도네시아 정부 규제애 대한 불확실성으로 분석.
*주간 뉴스 및 전망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 한주간의 움직임. 전주대비 비슷한 거래량을 보인 한주였지만 역시 미국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에 대한 시장의 우려분위기는 전반적인 비철시장의 움직임을 좌우했음. 금주 아연, 납, 주석은 각각 +0.7%, -1.92%, +1.71%씩 하락하며 큰 혼조세를 보임. 금일 발표된 미국 비농업부분 고용이 예상을 하회한 결과가 도출됨으로 인해 공격적인 추가 축소 움직임이 다소 제한될 것이라는 점으로 인해 금일 비철시장은 전반적인 상승을 기록. 유럽지역 아연 프리미엄은 수요증가와 공급 제한의 영향으로 인해 상승할 것으로 전망. 특히 Rotterdam지역의 프리미엄은 작년 $130-135수준에서 크게 상승한 Mt당 $160이 전망됨에 따라 향후 아연 가격에 주목할 필요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