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재료정책연구소와 철강산업 살리기

금속재료정책연구소와 철강산업 살리기

  • 철강
  • 승인 2014.03.03 06:50
  • 댓글 0
기자명 에스앤앰미디어 hyju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는 물론이고 세계 철강시장이 심각한 공급 과잉 상황에 처해 있다.
세계철강협회(WSA) 등의 조사에 따르면 공급 과잉 능력이 무려 5억4천만톤을 넘어서고 있으며 이중 한중일 동북아시아 3국의 과잉능력이 무려 3억3천만톤으로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 결과 철강산업의 교섭력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도 낮아졌다. 이제 수요가들은 구매자로서 진정한 갑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와 같은 철강산업 환경과 처한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도 수출입이 중요해졌다. 국내 수급 상황을 안정시키고 적정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입을 줄이고 수출을 늘리는 것이 아주 중요한 필요 조건이 됐다.

  이미 수입을 줄이기 위한 각 국의 무역규제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철강 무역규제의 대표적 방법인 반덤핑(AD)이나 상계관세(CVD) 제소는 선진국, 신흥국을 가리지 않고 계속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전형적인 수출 국가다. 따라서 무역규제도 상대국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다. 철강 부문에서도 우리의 반덤핑 제소 및 판정은 거의 미미한 수준이다. 반대로 우리가 당하고 있는 무역규제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이런 환경에서 우리나라의 철강재 수입을 줄이고 수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보다 더 치밀하고 전략적인 대책이 아니면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그냥 수입이 늘었다고, 수입재로 인해 가격이 떨어져 피해를 입었으니 수입을 막아달라고 아우성쳐서 될 일이 아니다. 보다 더 명백하고 확실한 명분과 이유, 그리고 데이터를 정부 및 관계자들에게 제시해야 그나마 반덤핑 제소라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보다 더 상세한 세부 분석이 필요하다. 품목별 국가별 수출, 수입 추이 및 동향 파악과 분석이 절대적으로 선행돼야 할 것이다.

  또 통상부문 외에도 제품 품질과 안전성을 고려한 각종 수출입 제도와 통관 절차 등도 종합적으로 다시 따져봐야 할 일이다. 이를 통해 부적합 불량 철강재의 수입은 절대로 용인해서는 안 될 일이다. 특히 이 부분에서는 철강업계 차원이 아닌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해야 한다는 명분이 더욱 강조돼야 할 일이다.  철근 등의 수입, 특히 통관 부문에서 빈발하고 있는 수입제품 무단 반출과 같은 잘못된 관례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제도와 관리 정비가 시급한 일이다.

  철강산업의 성쇠는 제조업 전체와 직결될 수밖에 없다. 그런 철강산업이 지금 수입재로 인해, 또 수출시장에서도 크게 고전하면서 지속 생존 및 발전의 기로에 서 있다.
철강업체들의 보다 더 심각한 성찰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선행돼야 함은 물론 제도 전반에 걸친 검토와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

  최근 대한금속재료학회가 금속재료정책연구소를 설립하고 철강산업의 지속 생존 및 발전을 위한 정부 정책 대안 마련에 나섰다. 현재 상황이 오죽하면 학자들까지 나섰을까 하는 판단과 함께 정부 관계자들도 보다 더 전향적인 인식 전환과 철강산업 살리기에 함께 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