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뉴질랜드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면 자동차부품, 석유화학, 기계류, 철강, 건설, 식품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사업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다품종 소량 주문이 많을 것으로 예상돼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의 시장 진출에 유리할 것이란 관측이다.
코트라(KOTRA)는 23일 공개한 '한·뉴질랜드 FTA에 따른 현지반응과 중소기업 유망 수출품목'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전망했다.
뉴질랜드는 제조업 기반이 약해 수입 의존도가 높지만, 수입 관세는 낮은 편이어서 FTA로 인한 전반적인 관세인하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최근 한국산 자동차의 시장점유율 상승과 함께 자동차부품 수요가 늘고 있어 관세가 평균 5%, 최대 10% 인하되는 자동차부품이 대표적인 수혜 품목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석유화학 분야에서는 세제류 원료인 유기계면활성제와 식품 포장재인 폴리염화비닐(PVC) 랩 등의 한국산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뉴질랜드는 청정 농축산물 생산국으로 식품산업이 발달해 식품 제조와 포장에 필요한 한국산 기자재와 소재 수요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계·건설 분야에서는 지진 피해 지역에 대한 복구사업과 맞물려 중장비 및 부품, 철강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관세가 인하되는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봤다.
현지에서 인도네시아, 중국 제품과 경쟁하는 한국산 배전용 변압기도 5% 관세 면제 혜택을 받는다.
이밖에 아시아 이민자가 증가하면서 아시아 식품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는 추세여서 라면을 비롯한 식품류 수출도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