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분기 대비 14포인트 상승한 ‘97'로 집계
기업 체감경기가 1년동안 지속됐던 위축국면에서 벗어나 다소 진정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최근 2,428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5년 2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올해 2분기 전망치가 전분기 대비 14포인트 상승한 ‘97'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하지만 여전히 기준치(100)를 밑돌아 아직까지는 체감경기의 개선보다 악화를 예상하는 기업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체감경기를 뜻하는 BSI는 100 이상이면 이번 분기보다 다음 분기에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은 것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기업규모별로 대기업의 상승폭이 중소기업보다 컸다. 대기업의 BSI 전망치는 ‘99’로 전분기보다 18포인트 상승했고, 중소기업은 ‘96’으로 12포인트 증가했다. 기업형태별로는 수출기업이 내수기업보다 체감경기가 좋을 것으로 보인다. 수출기업은 ‘105’로 기준치인 100을 상회했지만 내수기업은 ‘95’로 기준치를 넘지 못했다.
지역별 체감경기는 서고동저(西高東低)의 형태를 보였다. 제주권(108)이 4분기 연속 기준치(100)를 넘은 가운데 충청권(105), 수도권(102), 호남권(102)도 기준치를 상회했다. 반면 대경권은 ‘81’로 최저치를 기록했고 강원권(99), 동남권(96)도 기준치를 밑돌았다.
기업들은 2분기 기업경영 애로요인으로 ‘내수 및 수출 등 수요부진’(49.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자금난’(16.6%), ‘환율불안’(11.3%), ‘인력난’(10.1%) 등을 지적했다.
정부에게 바라는 정책과제로는 ‘경기활성화’(51.6%), ‘자금난 해소지원’(21.1%), ‘규제완화’(11.3%), ‘인력난 해소지원’(8.5%) 등을 차례로 꼽았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2분기 기업체감경기가 개선됐으나 여전히 기준치(100)를 하회해 체감경기가 회복세에 들어섰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면서 “최근 금리인하, 부동산경기 회복세 등 경기회복 여건이 조성되고 있는 만큼 정부가 투자활성화, 수출진작 등 경제활성화 정책을 통해 경기회복의 모멘텀을 더욱 강화시켜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