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모델링 등 미래 자원개발 인재 양성
한국광물자원공사(사장 고정식)는 26일 서울 신대방동 본사 대회의실에서 광산개발기술 경진대회(COREA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이 대회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3차원 모델링을 활용한 매장량평가와 가채광량 측정 기술을 겨루는 국내 유일의 경진대회다.
이번 대회에는 총 11개 대학 26개 팀이 예선에 참가해 과제물 심사를 거쳐 18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특히 최초로 해외 대학(미국 아리조나 대학교 자원공학과)에서도 참가하는 등 높아진 관심을 반영했다.
본선 결과 ▲1세션(물리탐사 결과를 활용한 지질·광상 해석)에서는 강원대 김래영팀, ▲2세션(3D 모델링 S/W를 활용한 매장량 평가)에서는 아리조나대 박준혁 및 전북대 정수원팀, ▲3세션(3D 모델링 S/W를 활용한 가채광량 산정)에서는 전북대 서인호팀이 대상을 수상했다.
이날 고정식 사장은 “해외자원개발 장기 플랜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역량을 꾸준히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공사는 본 대회를 통해 국내 3D 모델링 기술의 저변을 확대하는 등 국내 자원개발 기술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자원개발 전문인력 양성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3D 모델링은 전문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가상의 3차원 공간상에 유용광체가 어떤 형태로 부존되어 있는지를 해석하고 광체의 부존량과 품위를 추정하는 작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