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서비스업 동반부진 원인
3월 산업생산이 한 달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3월 전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6% 감소했다. 1월에 1.9% 감소한 뒤 2월에 2.2% 올라 반등했지만 3월엔 다시 떨어진 것이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모두 부진했다. 광공업 생산은 전자부품(-7.7%), 1차금속(-4.3%) 등의 부진으로 전월에 비해 0.4% 감소했다. 특히 제조업(-0.6%)의 생산 감소세가 컸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 대비 0.8% 증가했고,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전월에 비해 1.5%포인트 하락한 73.6%에 머물렀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문·과학·기술(-3.4%), 운수업(-1.8%), 도소매업(-0.7%) 등의 영향으로 전월에 비해 0.4% 줄었다.
건설업 생산은 1월(+4.3%)과 2월(+4.8%)의 상승 곡선을 이어가지 못하고 6.8%나 감소했다.
소비와 투자도 부진했다. 3월 소매판매는 비내구재(-2.1%)와 준내구재(-0.2%)의 판매가 줄면서 전월 대비 0.6%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기타운송장비와 일반기계류 투자 감소로 전월에 비해 3.9% 줄었다. 건설기성은 건축과 토목공사 실적이 줄면서 전월 대비 6.8% 감소했다.
기획재정부는 “3월 주요 지표가 2월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의 영향을 받았지만 1분기 전체로는 건설업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2분기 이후에는 내수를 중심으로 경기 개선세가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