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석유 등 "저금리 유지가 바람직… 대한상의, 저금리 대응 실태 조사
미국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가시화한 가운데 국내 제조업체 10곳 중 8곳은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기업 300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저금리에 대한 인식과 대응 실태 조사’에 따르면 미국 금리 인상이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응답 기업의 74.5%가 ‘경제회복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25.5%에 불과했다.
미국 금리 인상이 가져올 구체적인 영향으로는 ‘외국인 자금 대량 이탈’(29.8%)을 가장 많이 우려했고, 이어 ‘금융 시장 변동성 심화’(27.3%), ‘국내 소비·투자심리 악화’(22.7%), ‘미국경기 둔화’(18.2%) 등을 경계했다.
특히, 금리 인상 우려에도 대다수 기업이 아직 별다른 대응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었다. 미국 금리인상에 대비한 대책 유무를 묻자 대책을 수립했거나 수립 중이라는 기업은 20.7%에 그친 가운데 ‘현금성자산 등 유동성 확보’(37.1%), ‘시장 모니터링 강화’(21.0%), ‘가격 변동성이 낮은 단기채권 투자’(14.5%), ‘부채상환계획 조정’(14.5%), ‘투자 계획 연기’(12.9%) 등의 대비책을 마련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응답 기업의 79.3%는 대책을 세우지 못했는데 ‘인상 폭이나 시기 불투명’(64.3%), ‘다른 우선순위 사업으로 계획 수립 지지부진’(13%), ‘수립 역량 부족’(2.9%) 등을 대책 미비 원인으로 들었다.
미국 금리 인상 시기로는 ‘올해 3분기’(43.3%)를 예상한 기업이 가장 많은 가운데 ‘올해 4분기’(24.7%), ‘내년 중’(16.7%)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한편, 국내기업 78%는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 답했다. ‘인상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14.3%에 불과했다. 업종별로는 대규모 장치산업으로 경기 변동, 비용절감에 민감한 ‘철강’(100%)과 ‘석유화학’(100%) 응답 기업 모두가 저금리 기조가 유지돼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 ‘섬유·의복’(95.8%), ‘금속·소재’(85.7%), ‘목재·종이’(83.3%), ‘운송장비’(77.5%), ‘식음료’(59.3%), ‘전기전자’(54.3%) 순으로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기를 희망했다.
기업들은 저금리에 따른 경제적 효과에 대해서는 ‘자금 조달 비용 인하에 따른 투자 여력 확대’(60.4%)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대출이자 부담 경감에 따른 소비 촉진’(21.9%), ‘부동산·주식 시장 활성화 및 내수 진작’(9.5%), ‘원화가치 상승 억제에 의한 수출경쟁력 향상’(7.7%) 등을 차례로 꼽았다.
끝으로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정부 대응 방안으로 기업들은 ‘환위험·금융 리스크 관리 지원’(38%)을 우선으로 꼽았고 이어 ‘금융 시장 상황 상세정보 제공’(23.7%), ‘가계부채 정책 처방’(22.7%), ‘투자 심리 개선을 위한 규제 개혁’(13.0%)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7년여 만에 미국이 금리 인상0에 나서는 만큼 그 파급 영향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면서 “정부는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필요 시 즉각적인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는 체계 마련, 금융 리스크 관리 지원 등을 통해 만일에 있을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