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포함 글로벌 업체들 판매 급감
최근 국내 완성차업체들이 중국 현지 업체에 시장점유율을 내주며 고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토종 브랜드인 장안기차는 극심한 경기 침체 속에서도 올해 1~7월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44만6,000여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53.4% 증가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달성했다.
또 다른 중국 브랜드 장성기차도 올해 1~7월 39만4,000여대를 팔아 전년 동기 대비 31.2% 급증한 모습을 보였다.
지난 7월 판매실적만 봐도 장안기차는 4만2,000여대, 장성기차는 4만여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8%와 8.6%의 성장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중국 토종 업체들의 지난 7월 중국 내 판매량은 30만4,000여대로 전년 동기 대비 11% 상승하는 등 중국 전체 자동차 시장을 호령하고 있다.
지난 7월 승용차 기준 중국 자동차산업수요는 총 123만5,000여대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한 점을 고려하면 중국 토종 브랜드의 성장 속도가 상당 수준임을 엿볼 수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중국 토종 브랜드 자동차의 판매가격이 글로벌 자동차 가격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다”며 “현재 모든 글로벌 경쟁사들이 출혈 경쟁에 나서야 할 판국”이라고 말했다.
중국 토종 브랜드들이 눈에 띄게 호실적을 내고 있는 것과 달리 국내 현대기아차의 중국 시장 성적표는 초라하다.
현대차는 올해 1~7월에 56만4,389대를 팔아 전년 동기 대비 10.9% 감소했고 기아차도 33만3,165대로 6.3% 감소했다.
문제는 앞으로도 최근 들어 역력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차는 지난 7월 중국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32% 줄어든 5만4,160대를 판매했고 기아차는 33% 감소한 3만8대를 파는데 그쳤다.
이에 따라 지난 7월 중국 승용차 기준 점유율은 현대차 4.8%, 기아차 2.7% 등 총 7.5%에 그쳐 전월과 마찬가지로 7%대 점유율에 그쳤다.
현대기아차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글로벌 합작 업체들의 판매가 급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7월 업체별 판매실적을 살펴보면 1위를 차지한 폭스바겐은 10만858대를 판매했지만 전년 대비 29% 감소했으며 폭스바겐과 GM 역시 각각 9만9,703대와 9만2,085대를 판매해 25%와 24%가 줄었다.
중국 토종 브랜드 약진으로 글로벌 업체가 독식하던 중국 자동차 시장 판도가 무너지자 현대기아차를 포함한 합자업체들은 가격 할인 등 각종 판촉 공세를 퍼붓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일부 모델들에 대한 가격인하 조치와 더불어 경쟁력 있는 신차를 발표해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