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52.6조원 낭비된다

연간 52.6조원 낭비된다

  • 일반경제
  • 승인 2015.09.09 14:13
  • 댓글 0
기자명 박진철 jcpark@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경연, 韓 재정지출 14% 비효율적 사용

  우리나라 재정지출의 14%가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9일 발표한 ‘재정지출 구조개혁 방향’ 보고서는 2015년 정부 예산 375.4조원을 기준으로 52.6조원이 낭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OECD 국가를 대상으로 성과 대비 재정 투입 최소화(투입기준)와 재정 투입 대비 성과 극대화(산출기준)의 관점에서 각 국가의 효율성 점수를 추정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총지출에서 우리나라는 투입 기준으로 0.860점을 받아 OECD 34개국 중에서 4위를 차지했다. 또 산출 기준으로는 0.913점을 받아 OECD 국가 중 5위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상위권에 속해 있지만 가장 효율적인 수준과 비교할 경우 총지출은 14% 축소할 수 있는 여력이 있으며 성과는 8.7% 개선할 잠재력이 있다고 분석했다. 즉, 우리나라의 2015년 예산 375.4조원을 기준으로는 14%에 해당하는 약 52.6조원이 비효율적인 지출이라는 것이다.

  분야별로는 공공행정 분야의 재정지출 비효율성이 가장 높았다. 투입 기준으로 평가된 공공행정에 대한 지출의 효율 점수는 0.760점으로 OECD 국가 중 5위를 차지한 반면 산출 기준으로 추정된 점수는 0.527점로 26위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따라서 국방을 제외한 공공행정 관련 2015년 예산 79.4조 원 중 약 24%인 약 19조원을 줄일 수 있는 여력이 있다고 분석했다. OECD 국가 중 1위를 차지한 스위스와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지난 10년간 연평균 GDP 대비 공공행정지출 비중이 스위스 10.8%보다 3.5%p 높은 14.3%를 쓰면서도 성과는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또 교육 분야는 투입 기준의 효율 점수는 0.716점으로 OECD 국가 중 7위를 차지했으며, 산출 기준은 0.915점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2015년 교육예산 52.9조원을 기준으로 28.4%에 해당하는 약 15조원의 예산이 비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일본의 교육 분야 지출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GDP 대비 3.2%로 우리나라 4.2%보다 1%p 적으면서 높은 성과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일본을 벤치 마크할 경우, 약 12.6조원의 교육 예산을 줄일 수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한편, 복지예산에서 우리나라는 투입 기준 점수가 0.843점으로 7위를 기록했으며, 산출 기준 점수는 0.955점으로 14위로 평가됐다. 2015년 복지예산 115.7조원에 이를 적용하면 약 18.2조원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의미다. 분석 국가 중 가장 높게 평가된 스위스의 복지지출은 연평균 GDP 대비 6.0%로, 우리나라 7%보다 1%p 낮았다. 우리나라가 스위스를 벤치 마크하면 16.5조원을 절감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주장했다.

  조경엽 한경연 공공연구실장은 “고령화와 경기 침체로 재정지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세입결손이 확대되면서 재정적자가 구조적으로 고착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밝히고 “재정준칙을 확립해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재정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