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 조사 결과
유커(중국인 관광객)의 귀환, 건설•부동산경기 호전 등으로 제주도의 경기 전망이 40포인트 이상 뛰었다. 전국 기업경기전망도 하락세에서 횡보세로 접어들었다. 그러나 철강·비철금속, 기계 업종의 대기업은 여전히 부정적인 전망이 우세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2,300여 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4분기 전망치는 87로 집계됐다. 그중 유커의 귀환으로 소비 훈풍이 불고 있는 제주는 132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체감경기를 뜻하는 BSI는 100 이상이면 이번 분기보다 다음 분기에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은 것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대한상의측은 “지난 분기 88로 9포인트 급락했던 경기전망지수 하락세가 진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여전히 경기 악화 전망이 우세한 편”이라며 “메르스 종식으로 내수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지만 중국경제 경착륙 가능성,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 등 대외 요인 불안이 아직 발목을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대부분 지역 체감경기가 기준치를 밑도는 가운데 제주의 경기전망지수는 132로 42포인트 상승했다. 매달 30만명 가량의 관광객이 들렀던 제주는 메르스로 7월 8만명까지 감소했으나 지난달 21만명 이상 증가해 소비 훈풍이 불고 있다.
또 수출기업 BSI전망치는 89로 지난 분기에 비해 2포인트 하락했으며, 내수기업(87)은 변화가 없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전망치가 76으로 중소기업(88)보다 떨어졌다.
대한상의는 “철강·비철금속, 기계 업종의 대기업이 부정적 전망을 주로 나타냈다”며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되면서 수출계획도 줄여 잡았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