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올해 2천2백곳 구축지원

政,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올해 2천2백곳 구축지원

  • 뿌리산업
  • 승인 2017.02.02 16:00
  • 댓글 0
기자명 방정환 jhba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계획' 확정
2일부터 신청 접수…올해 1천1백10억원 투입

정부가 국내 제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공장 보급에 앞장선다. 올해까지 5,000개의 중소·중견기업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7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계획'을 확정, 공고하고 올해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올해는 민관합동으로 1,108억원(정부 905억원,민간 203억원)을 투입해 2,200곳 이상(누적 5,000개 이상) 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할 방침이다.

최첨단으로 스마트 공장 시스템을 구축한 대구열처리 업체 미래써모텍 공장 내부. 정수남 기자

산업부는 그동안 보급한 개별구축형 방식 외에 에너지신산업 기술을 적용해 생산성 개선과 에너지효율을 함께 달성하는 클린에너지 방식과 클라우드형 방식 등으로 보급방식을 다양화 한다.

클라우드형 스마트공장은 공장 내에 서버 등을 직접 설치, 운영하는 개별구축형과 달리 원격지의 데이터센터(IDC)에 있는 솔루션을 활용하고 월사용료를 지불하는 서비스 방식이다.

스마트공장 구축을 희망하는 기업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http://bms.smart-factory.kr)
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기업은 제품설계와 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MES 등) 구축비용,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등의 구입을 지원받게 된다. 아울러 기업 맞춤형 스마트공장이 구축될 수 있도록 관련분야 15년 이상 경력 전문가(스마트공장 코디네이터)의 컨설팅도 받을 수 있다.

한편, 지난해까지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사업의 지원을 받은 중소·중견기업은 2,800개에 이른다.

산업부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구축 이후 생산성 개선(23%↑), 불량률 감소(46%↓), 원가 절감(16%↓), 납기 단축(34.6%↓) 등에서 경쟁력이 상승했다. 이로 인해 이들 기업은 사업다각화, 신규 판로 개척, 일자리 창출 등 기업 경영실적 개선 등을 구현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