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생산 비율을 20%까지 공급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들어갔다.
29일 산업부는 산․관․학․연 전문가 및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회의를 갖고 '신재생 3020' 이행계획을 8월말까지 수립키로 했다.
우선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20% 달성을 위해서는 2030년까지 53GW 규모의 신규 설비를 보급해야 하고 태양광과 풍력을 80% 수준으로 보급해 선진국 수준의 믹스를 달성해야 가능하다며 현 보급추세(연평균 1.7GW)보다 연평균 2GW씩 추가 보급하는 것으로 획기적 보급방안이 필요하다는데 참석자들은 인식을 같이 했다.
이를 위해서는 입지난, 주민민원 등과 같은 만성적인 애로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과 지자체와 협업이 절실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또 신재생분야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술개발(R&D), 실증, 수요창출을 통한 경쟁력 강화, 산업생태계 육성 및 수출지원, 세제 감면 등도 추진키로 했다.
산업부는 앞으로 규제개선, 수용성, 지역․공공, 일자리․산업 등 4개 이슈별로 분과를 구성․운영해 늦어도 8월말까지 신재생 3020 이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