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인상분 적용에 적자판매 만회
최근 구조관 제조업계가 6월 2차 제품 가격 인상분을 적용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구조관 업계에 따르면 지난 5월에 이어 6월 2차 가격 인상으로 적자판매구조에서 벗어나는데 집중하고 있다. 특히 5월 제품 가격 인상에도 적자판매 구조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6월 2차례 가격 인상으로 적자판매를 멈추고 수익성을 회복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구조관 업계는 월 1만톤 수준의 판매 체제를 유지해야 한지 보니 수익성 보다 매출 중심의 판매물량 확보에 매달렸다. 그러나 3월, 4월까지 연이어 적자판매로 인해 수익성 악화를 기록하다보니 매출 중량보다 수익성을 우선시하는 판매전략을 세운 것이다.
중국산과 국산 열연강판(HR) 가격 차이를 비롯해 고금리인 상황이 이어지면서 재고 부담이 이전보다 큰 상황이다. 이에 따라 소재 구매를 필수적인 제품만을 구매하고 제품 재고도 잔업과 특근을 줄이면서까지 타이트하게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고가 원자재 사용과 함께 제조원가 비용도 높아진 게 구조관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통 톤당 10만원의 원가가 13~14만원까지 올랐고 최대 15만원까지 제조원가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중량 중심의 판매 보다 기존 재고 처리로 인해 잔업을 포기 하는 업체들이 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제품 생산 감소에 자발적인 감산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제품 가격 결정권이 대형 업체들로 넘어가면서 중소 업체들은 수익성 위주의 내실경영을 추구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6월 제품 가격 인상으로 수익성을 확보하기 보다 적자판매분을 만회하는 셈”이라며 “하반기 소재 가격 상승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중량 중심의 판매 대신 수익성 위주의 제품 판매를 펼칠 것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