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포제련소 이전 강력 반발…봉화·태백 주민들, 공동투쟁위 결성

석포제련소 이전 강력 반발…봉화·태백 주민들, 공동투쟁위 결성

  • 비철금속
  • 승인 2025.09.25 16:31
  • 댓글 0
기자명 김영은 기자 yekim@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존권 위협'…석포제련소 이전 철회 촉구
봉화·태백 주민, 공동투쟁위원회 출범…결의문 정부 전달 예정

 

주민들이 석포면 만촌슈퍼 앞 도로에서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고 ‘봉화, 태백 생존권 사수를 위한 공동투쟁위원회’를 결성하고 제련소 이전 철회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제공/영풍)
주민들이 석포면 만촌슈퍼 앞 도로에서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고 ‘봉화, 태백 생존권 사수를 위한 공동투쟁위원회’를 결성하고 제련소 이전 철회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경북 봉화군 석포면 주민들과 강원도 태백시 시민들이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 추진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고 중앙정부를 상대로 강경 대응에 나섰다. 주민들은 제련소 이전이 “사실상 지역 말살 정책”이라며 이를 저지하기 위한 공동투쟁위원회를 결성하고 본격적인 대정부 투쟁을 예고했다.

석포면 현안대책위원회, 태백시 현안대책위원회, 석포주민 생존권 사수 봉화군 협의회 등은 25일 오후 봉화군 석포면 만촌슈퍼 앞 도로에서 수백 명이 참여한 가운데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고 ‘봉화, 태백 생존권 사수를 위한 공동투쟁위원회’를 결성하고 제련소 이전 철회를 강력히 요구했다.

이날 수백명의 주민들이 참여한 궐기대회에서 참가자들은 “석포제련소 이전은 명백한 폐쇄이며, 주민의 생존권을 짓밟는 폭거”라고 주장했다. 이어 “1970년 설립 이후 50여 년간 제련소는 봉화와 태백 주민의 삶을 지탱해 온 터전이었다”며 “제련소가 사라지면 지역 공동체와 경제는 공멸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 문제와 관련한 지적에 대해서도 주민들은 강하게 반박했다. 이들은 “제련소는 무방류 시스템, 저황산화 방지시설, 대기·수질 개선 설비 등 지속적인 환경 개선 투자를 통해 운영돼 왔다”며 “지금 시점에서 이전을 추진하는 것은 환경적 필요에 따른 합리적 판단이 아니라 정치적 목적에 따른 결정”이라고 반박했다.

 

주민들이 석포면 만촌슈퍼 앞 도로에서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고 ‘봉화, 태백 생존권 사수를 위한 공동투쟁위원회’를 결성하고 제련소 이전 철회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제공/영풍)
주민들이 석포면 만촌슈퍼 앞 도로에서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고 ‘봉화, 태백 생존권 사수를 위한 공동투쟁위원회’를 결성하고 제련소 이전 철회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주민 단체들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주민 의견을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제련소 이전 논의를 진행한다면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공동투쟁위원회는 제련소 이전 및 폐쇄 계획에 반대하는 결의문을 작성해 중앙정부에 전달할 계획이다.

박재한 공동투쟁위원회 위원장(봉화청년회의소 회장)은 “봉화 군민과 태백 시민은 분노와 절규의 목소리를 분명히 전달하기 위해 모였다”며 “제련소를 지키는 일은 곧 우리 지역을 지키는 일인 만큼, 끝까지 단결해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광길 석포면현안대책위 위원장은 “우리의 투쟁은 단순히 제련소를 지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과 아이들의 미래를 지켜내는 싸움”이라며 “오늘 이 자리에서 살을 태우는 심정으로 앞장서겠다. 우리의 생존권과 재산권을 지키기 위해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상북도는 석포제련소 이전을 위한 TF를 구성해 타당성 조사와 종합 대책 수립을 진행 중이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