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 상승으로 인한 가격 인상 불가피 지속적인 설비 투자로 시장 개척 나설 전망
수출 물량 확보 '저조' 내수 판매 '집중' 지난 2012년 5만톤 내수판매 이후 2018년 2만7천톤까지 감소 조달 우수제품 5건…관급 물량 확보로 수익성 확대
현대제철 1월 철근 기준가 톤당 74만원(SD400, 10mm) 동결 향후 현대제철 월별 독자적인 기준 가격 발표 그 외 제강사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 중…“방향성은 동의한다”
2018년 전체 매출 5,000억 돌파 예상 내년 건설 물량 감소에 수주과열 전망
5년전 대비 내수 판매 절반 수준으로 하락 5년전 대비 생산 10만톤 감소…수출은 증가 2014년 수입재 시장 점유율 17.3%…2018년은?
2018년 10대 뉴스, 美 232조· WSA 3대 이슈·최저임금 개정 등 선정 공정위 과징금·환경규제 강화·포스코 최정우 회장호 출범 등도 올라와
계절적 비수기 영향 국내 및 터키, 일본 등 극심한 시황 침체 업계 전문가 “내년 1월 중순 이후 시황 살아날 듯”
일자리 창출효과 전무하고, 해외이전으로 인한 산업공동화 ‘우려’
내수·생산은 반등, 수출·입은 감소, 2019년 소폭 증가 혹은 보합세 예상
동훈에스피, 신이철강, 드림스틸, 스틸플라워, 미주제강 순천공장 등 총 5건 구조관 업체부터 아크용접(SAW)강관 업체까지 다양한 업종 분포
26일 개성 판문점에서 남북 철도 착공식 개최 레일, 올해 생산·출하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5.7%, 6.9% ↓
철스크랩 고급화, 탄소 저감인식 등 생존 전략 마련 필요
현대제철 2주간 H2 수입價 1,500엔 인하 日 수출 시황 총체적 난국… 오퍼價 인하 불가피
보호무역주의 기조 전 세계 확산, 글로벌 교역 위축 우려 韓, 車 232조 발동시 피해 예상보다 높아
건설, 자동차 수요 둔화 전망 속 조선, 기계 수요 꾸준 보호무역주의 움직임 지속에 수출 타격 전망
철저한 국가, 지역별 현지 시장조사 요구 해외 고객 차별화 전략과 핵심 포인트 발굴
철근…건설 경기 하락으로 수요 감소 H형강…비주거용 수요는 하락할 것, 반면 대형 프로젝트 위주로 실적 선방할 것
가공물량 대폭 강화… 월 3,000톤 육박 대구사업소·경산사업소 지역거점별 ‘투트랙’ 전략
지난 9월부터 총 6건 등록 中 강관 제조업체 형수경화제관(유) 국내 KS등록
포스리, '중국 철스크랩 수출량을 결정하는 요인들' 이슈리포트 통해 분석
2020년 이후 값싼 중국 철스크랩 대거 유입 국내 자급도 100%, 2030~2035년 예상
자동차부품사와 가격 이견으로 수익성 하락 HR 제조업계 가격 정책 변화 필요 강조
올해 포스코 베트남·바레인 H형강 점유율 67%…지난해 30% 中, 수입량 올해와 큰 차이 없을 것으로 보여 도쿄제철, 말레이시아…변수는 있어
대한제강, 한국철강 등 6번째 구매價 인하 업계 관계자, “구매 가격 여전히 높아 몇 차례 하락 불가피”
매각가격 놓고 원매자 측과 이견 커 SAW강관 해외 수출 악화에 물량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