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까지 총 22조2000억원을 투입, 4대강 살리기 사업이 본격 착수된다. 4대강 살리기사업의 본 사업비는 애초 계획보다 3조원가량 늘어난 16조9000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 아울러 정부는 4대강 살리기 사업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의 종합 정비계획도 내년까지 수립해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는 8일 국토해양부, 환경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수산식품부 등 관계 부처와 합동으로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의 마스터플랜(종합계획)을 확정해 발표했다.
정부가 발표한 4대강 살리기의 핵심과제는 ▲물 부족에 대비한 수자원 확보 ▲200년 빈도 이상의 홍수에 대비한 홍수조절용량 확보 ▲본류 수질 평균 2급수로 개선 ▲하천의 다기능 복합공간 개조 ▲지역발전을 위한 연계사업 등 5개가 선정됐다.
정부는 우선 물부족 해결을 위한 수자원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정부에 따르면 예상되는 물부족 규모는 2011년 8억톤, 2016년 10억톤으로,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13억톤의 수자원을 확보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하천 중간중간에 총 16개의 보(洑)를 설치하고 송리원댐 및 보현댐 건설, 안동댐-임하댐 연결 등으로 용수저장용량을 늘리며 농업용 저수지 96개의 높이도 올리기로 했다. 홍수에 대비한 홍수조절용량 확대 목표치는 9억2,000만톤으로 정해졌다.
정부는 목표달성을 위해 하천 바닥의 퇴적토 5억7,000만톤 준설과 홍수조절지 및 강변 저류지 설치, 노후제방 보강 같은 방법이 활용된다.
또 하천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오염도가 높은 34개 유역이 체계적으로 관리된다. 이를 위해 하수처리시설 750곳이 확충되고, 산업단지 및 농공단지 폐수종말처리시설 46곳이 신.증설된다.
아울러 자전거 길(1728㎞)과 산책로.체육시설 설치 등을 통해 생활.여가.관광.문화.녹색성장이 어우러지는 복합공간이 들어서고, 지역경제발전을 위해 다양한 연계사업이 추진된다.
4대강 사업은 본사업과 직접연계사업, 연계사업 등으로 구분해 추진키로 했다. 우선 본사업은 물 확보, 홍수조절 등을 위해 4대강 본류에서 시행하는 사업으로 작년 12월 정부가 처음 발표했던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가 해당된다. 본 사업비는 작년 말 발표 때보다 3조원이 늘어난 16조9000억원으로, 수계별로는 한강 2조원, 낙동강 9조8000억원, 금강 2조5000억원, 영산강 2조6000억원이다.
직접 연계사업에는 4대강의 지류인 주요 국가하천과 섬진강의 지류 정비, 하수처리시설 확충 등 수질개선사업이 포함되고 수질개선비용 3조4천억원을 포함해 총 5조3000억원이 투입된다. 직접 연계사업으로 정비되는 하천은 14개로, 본사업 및 직접연계사업은 모두 18개의 강을 망라하고 있다.
연계사업은 강살리기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지방하천 정비(국토부), 금수강촌만들기(농림부), 문화가 흐르는 4대강 사업(문광부) 등으로 이뤄져 있다. 연계사업 계획은 각 부처가 수립해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방침이어서 현 시점에서 정확한 예산 규모를 추정하기는 어렵다.
정부는 4대강 살리기의 주요 사업을 2011년까지 완공하되 댐.농업용저수지 건설과 직접연계사업은 2012년까지 끝내기로 했다. 사업발주는 구간별 특성을 고려해 턴키입찰(일괄방식) 21개공구, 일반 68개공구로 구분해서 할 방침이다. 1차 발주가 이달 안에 이뤄지고 2차 발주는 올 10~11월로 예정됐다. 1차 발주 물량은 올 10~11월에, 2차 발주물량은 내년 2~3월에 각각 착공한다.
방정환기자/bjh@snm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