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아연도금강판 설비 투자 완료…냉간압연~표면처리까지 최신예설비 완비
총 5,100억원 투자…연간 200만톤 고부가가치 강판 생산체제 구축 완료
냉연, 아연도금강판, 컬러강판 등 냉간압연 표면처리제품 전문 생산업체인 유니온스틸(대표 홍순철)이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체제 구축을 목표로 4년여에 걸쳐 창립이래 최대인 총 5,100억원을 투입한 설비 신예화 작업을 마무리했다.
유니온스틸은 10일 부산공장에서 홍순철 사장과 회사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최신예 아연도금강판 제조 설비인 제 5호 CGL설비의 안전 가동 기원제를 갖고 4년여에 걸친 신예화 투자의 대미를 장식하게 된다고 밝혔다.
사진 : 유니온스틸이 10일 준공한 용융아연도금강판 설비. 연간 40만톤의 최고급 아연도금강판 및 세계 최초로 열경화성 수지 강판을 생산할 수 있다.
유니온스틸의 설비 신예화는 지난 2005년 4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유니온스틸은 3,000억원을 투자해 냉간 압연 핵심 설비인 PL-TCM(연속산세냉간압연설비)을 증설하기 시작해 2007년 8월 완공했다.
이어 PL-TCM에서 생산된 소재를 사용해 최고급 컬러강판을 만들 수 있도록 2007년 11월부터 이듬해 9월까지 400억원을 투입해 신규 컬러강판 제조 설비를 도입했고, 2008년 1월부터 1,700억원을 투입해 연간 40만톤의 생산능력을 갖춘 용융아연도금설비(CGL) 신설을 추진해, 당초 완공 예정 시점보다 5개월을 단축한 10일 완공하고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하게 됐다.
이로써 유니온스틸은 연산 200만톤에 달하는 냉간압연, 아연도금, 컬러도장 이르는 표면처리강판 생산설비 일체를 최신예 설비로 갖추고 고부가가치 표면처리강판 생산에 주력할 수 있게 됐다.
신규 설비는 기존 노후 설비가 갖고 있는 단점을 완전히 보완하고 1,600mm 광폭의 강판을 냉연강판에서 컬러제품까지 생산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기존 제품의 품질 향상과 최첨단 도금강판 제품 생산 등이 가능해져 유니온스틸의 경쟁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신설된 No.5CGL은 용융아연도금강판(GI) 및 갈바륨(G/L, 아연-알루미늄 합금도금)강판을 주력으로 연간 40만톤을 생산할 수 있으며, 정밀 제어기술과 후처리 기술을 접목해 세계 최초로 열경화성 수지 강판까지 생산할 수 있는 최첨단 설비다.
유니온스틸 홍순철 사장은 10일 부산공장에서 "어려운 대외 여건에도 설비 신예화를 무사히 마무리해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고 국내 표면처리강판 업체 중 최고의 설비로 광폭 아연도금제품 및 칼라강판까지 생산을 확대 해 나갈 탄탄한 기반을 구축하였을 뿐만 아니라 최신예설비를 갖춘 만큼 수요가의 요구에 최고의 제품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니온스틸의 설비 신예화 개요
설비명 |
투자금액 |
건설기간 |
설비특징 |
PL/TCM |
3,000억 |
05. 4 ~07. 8 |
- 단압 MILL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핵심 설비 |
- 기존 130만톤의 Capa를 200만톤으로 증대 | |||
- 광폭 및 박판 위주 설비 | |||
- 국내최초 개별 모터에 의한 구동방식(원자재 형상교정 능력 향상) | |||
No.5 CCL |
400억 |
07. 11~08. 9 |
- 연간 7만8,000톤 고급 컬러강판 생산 |
- 3Coat 3Bake System, Printer 및 Laminator’ Embosser 장착 | |||
? 가전용 3Coat 3Bake 제품 | |||
? 고품질 4도 Print 강판 | |||
? 고광택 Lamina강판 | |||
? 엠보싱 강판 등 | |||
- 광폭부터 협폭 까지 다양한 Size Sheet 제품 생산 | |||
No.5CGL |
1,700억 |
08. 1~09. 6 |
- 연간 40만톤의 아연도금강판 및 갈바륨강판 생산 |
- 1,600mm 광폭 및 후판 배전반용 갈바륨 생산 | |||
- 후처리 기능강화로 세계 최초 열경화성수지 강판 생산 (가능) | |||
- 정밀제어에 의한 균일도금으로 표면 외관 품질 향상 |
유재혁기자/jhyou@snm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