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유통업계가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 제강사들이 8월부터 가격 할인을 축소하는 한편 7월 판매 가격도 동결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7월 중순까지 제강사들이 판매를 독려하면서 일부 유통업체들이 할인을 선반영해 톤당 60만원 중반에 판매하기도 해 이에 따른 손실이 예상되고 있다. 철근 유통업계에서는 제강사의 7월 판매 가격 동결로 대부분의 유통업체가 톤당 1~2만원 많게는 톤당 4만원까지 손실을 입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 함께 8월 할인 축소도 적지 않은 압박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할인 축소로 인해 제품 가격이 사실상 인상되면서 유통업체들의 이익률도 상대적으로 감소한다는 주장이다. 일반적으로 유통업체들의 철근 판매 이윤은 톤당 7,000원선이다. 여기에 철근 가격이 70만원대에 진입하면서 유통업체들의 영업이익률은 1%가 채 안 되는 수준으로 하락했다는 것. 철근 유통업계에서는 수요가 부진한 상황에서 1%가 안 되는 수익률로는 사업을 계속하는 것조차 힘들다고 말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 철근 유통 관계자는 “사장 혼자서 영업을 한다고 해도 영업비용만 월 1,000만원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여기에 직원들 급여와 회사 운영비 등을 고려하면 1% 이윤으로 사업하는 것보다 차라리 그 자본을 금융권에 투자하는 게 낫다는 말까지 나온다”고 말했다.
심홍수기자/shs@snm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