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이종인 전무, "韓, 철강업 국민경제 영향력 절대적"
"업계 공동기술 개발 등 대응 방안 마련해야"
현대제철 이종인 전무는 현재 추진중인 녹색성장 기본법에 산업규제가 심각한 수준이며 이는 국내 철강업체들에게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종인 전무는 17일 개최된 한국철강산업발전포럼에서 토론 패널로 나서 기존 선진국은 물론 개발 도상국들도 추진을 꺼리고 있는 이산화탄소 감축 논의 등에 대해 우리나라도 적정한 대응전략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미국은 상원에 제출됐던 관련 법안이 하원으로 돌아간 상태며, 중국과 인도는 2020년까지 감축 논의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일본 역시 선진국 합의가 이뤄진 이후에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나라만 무리하게 추진할 필요성은 적다고 설명했다.
특히 국내 산업계는 배출권 거래제와 탄소세 선호도가 65% 수준에 이르며 녹색성장법이 이대로 추진될 경우 철강업계는 연간 1조에서 1조4,000억원의 자금이 필요해 지는 등 기후변화 협약에 대해 너무 안이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철강산업은 국내 총생산의 17%를 차지하는 핵심산업 가운데 하나며 자동차와 조선, 가전 등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또한 절대적이라고 평가하고 위상에 걸맞는 대책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에서 국제 경쟁력이 약화되지 않기 위해서는 전철강업계와 정부 그리고 연구기관 등이 나서서 에너지 절감과 탄소 배출을 억제시키는 원천기술 개발에 공동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